닫기

여야, 검찰개혁 둘러싼 공방전…與 “檢 책임져야”vs野 “헌법 맞지 않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6010009362

글자크기

닫기

김동욱 기자

승인 : 2025. 07. 16. 14:12

정성호-13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물을 마시고 있다. /이병화 기자
=여야가 16일 정성호 법무부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공소청 설치 등의 검찰개혁을 둘러싸고 공방전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개혁의 정당성을 강조한 반면 국민의힘은 검찰개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정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일제히 검찰개혁 추진을 강조했다. 검찰 출신 박균택 의원은 "검찰청의 직접 수사권을 폐지하고 중수청으로 이관시키는 것은 대통령의 공약이고 민주당의 사실상 당론"이라며 "민주진영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동의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서영교 의원은 "수사도 공소유지도 (검찰이) 한다"며 "검사가 기소했는데 무죄를 받으면 책임을 져야 하지 않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윤석열이 내란 우두머리가 돼 최소 무기징역 상황까지 갔다"며 "이 상황에서 자기 멋대로 정치적으로 기소하는 검찰은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검찰개혁에 대해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조배숙 국민의힘 의원은 "검찰개혁을 한다고 검찰 폐지하는 법안을 냈다. "(문재인 정부 시절) 1차로 검·경 수사권 조정을 하고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했다"며 "(검수완박) 때문에 우리나라 형사·사법시스템이 기형적 구조를 맞았다. 지금은 피의자가 활개치는 피의자 천국이 됐다"라고 우려했다. 특히 검찰개혁의 핵심인 중수청, 공소청, 국가수사위원회 설치와 관련해 "헌법과 맞지 않고 형사소송법 체계와도 충돌된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주진우 의원도 "문재인 정부 때 이미 검·경 수사권 조정도 했고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도 만들어졌다"며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사건이 처리되는 기한이 늘어났고 법률 비용도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 때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수사제도를 고쳐 국민이 편해졌냐"라고 지적했다.
김동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