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러트닉 미 상무장관 “반도체 관세, 2주 후 발표 예상”...고율 부과시 한국 대미 수출 타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8010015651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7. 28. 05:44

러트닉 "반도체 관세, 2주 후 발표 예상...반도체 생산, 미국으로"
트럼프 "대만 등 많은 기업, 관세 회피 위해 미국으로 회귀"
러트닉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 후 협상 지속"
USA-TRUMP/BRITAI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중앙 오른쪽)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무역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 자리에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오른쪽부터)·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그리고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집행위원회 무역담당 부위원장(오른쪽 여섯번째) 등이 배석하고 있다./로이터·연합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반도체에 부과할 새로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의 '트럼프 턴베리 골프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 타결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 러트닉 미 상무장관 "반도체 관세, 2주 후 발표 예상...반도체 생산, 미국으로 가져올 것"
트럼프 "대만 등 많은 기업, 관세 회피 위해 미국으로 회귀"

러트닉 장관은 "이것이 바로 EU가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는 걸 시도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한 핵심 이유 중 하나였다"며 "우리는 반도체 생산을 미국으로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과 다른 곳에서 많은 기업이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이는 (새롭게 부과될) 관세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훨씬 더 낫고 확실한 방식으로, 아마도 훨씬 더 수익성 있는 방식으로 관세를 피했다"며 "이(미-EU 협상)는 매우 흥미로운 협상이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EU가 미국산 7500억달러(1038조원)어치를 추가 구매하고, 6000억달러(830조7000억원) 이상을 미국에 신규 투자하는 대신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EU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30%에서 자동차 포함해 15%로 낮추는 내용의 기본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

USA-TRUMP/BRITAI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중앙 오른쪽)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이에 스티븐 밀러 미국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오른쪽부터)·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그리고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집행위원회 무역담당 부위원장(오른쪽 다섯번째) 등이 박수를 치고 있다./로이터·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25일 구리, 4월 1일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검토를 상무부 장관에 각각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1962년 제정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대통령은 상무부 장관의 보고서 수령 90일 이내에 그 권고를 이행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 회의에서 취재진에 "우리는 의약품·반도체, 몇몇 다른 것들(에 대한 관세)을 발표할 것이다. 큰 것들"이라고 했고, 러트닉 장관은 같은 날 CNBC방송 인터뷰에서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조사를 이달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라면서 "그러면 대통령이 자신의 정책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는 자동차와 함께 한국의 대(對)미국 주력 수출품이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운 반도체 관세를 부과하면 삼성전자·SK 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업계에 적잖은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러트닉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 후 협상 지속"

한편, 러트닉 장관은 이날 미국 '폭스뉴스 선데이' 인터뷰에서 8월 1일부터 예고된 상호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연장도, 유예 기간도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이후에 협상을 계속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사람들은 8월 1일 이후에도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할 수 있다"며 "그는 항상 들을 의향이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