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폭염·폭우에 채소값 급등…7월 생산자물가 두 달 연속 상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0010009893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8. 21. 06:00

한국은행, '2025년 7월 생산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120.20…전월 比 0.4%↑
시금치·배추, 각각 171.6%·51.7% 상승
5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채소 코너./연합

폭염·폭우 여파로 시금치·배추 등 채소값이 급등하면서 7월 생산자물가가 두 달 째 상승했다. 서비스와 국제 유가 반등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해 국내 공급·총산출 물가까지 함께 올랐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5년 7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20으로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0.5% 올랐다. 


자료=한국은행/ 그래픽=박종규 기자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 대비 5.6% 올라 전체 지수를 끌어올렸다. 농산물(8.9%)과 축산물(3.8%) 모두 여름철 수요 증가와 폭염·폭우 등 기상 여건에 따른 공급 차질이 겹쳤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2.2%),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0.6%) 등이 올라 0.2% 상승했다. 반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주택용 전력(-12.6%)과 산업용 도시가스(-5.4%)가 내려 1.1% 하락했다. 서비스는 음식점 및 숙박(1.1%), 금융·보험(1.4%) 등이 올라 0.4% 상승했다.

특수분류별로는 식료품이 전월보다 2.6% 상승했으며, 에너지는 0.4% 하락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지수는 0.2% 올랐다.

국내 출하와 수입을 합산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8% 상승했다. 원재료가 4.6%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중간재(0.4%)와 최종재(0.5%)도 모두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원재료와 중간재 하락 영향으로 1.0% 낮았다.

국내 생산품과 수출을 합산한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공산품(0.6%)과 농림수산품(5.5%)이 올랐으나 전력·가스·수도·폐기물(-1.1%)이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공산품이 내리며 0.5% 하락했다.

품목별로는 시금치(전월 대비 171.6%), 배추(51.7%) 등 채소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쇠고기(6.5%)와 돼지고기(4.2%)도 행락철 수요 증가와 폭염에 따른 공급 차질로 상승했다.

이문희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백브리핑에서 "시금치와 배추는 폭염과 폭우 등으로 여건이 좋지 않았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행락철 수요 증가와 폭염으로 인한 폐사 증가가 겹치며 공급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와 관련해선 "7월 하순부터 지급돼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수요 증가 기대감이 일부 영향을 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