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대건설 이라크 ‘대형 수주’ 훈풍….현대엔지니어링도 플랜트 “승부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2010011935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09. 22. 17:06

주택 의존도 높던 현대엔지니어링…플랜트로 '본업' 강화
이미지
현대엔지니어링이 본업인 플랜트 사업을 앞세워 '재도약'에 나선다. 당분간 인프라 주택 부문 수주를 중단한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 부문 확대가 절실한 가운데, 현대건설이 4조원 규모의 이라크 해수 플랜트 공사를 따내면서 현대엔지니어링의 향후 수주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연결 기준 실적에 현대엔지니어링이 포함되는 현대건설 역시 실적 개선을 위해선 현대엔지니어링의 성장 동력이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업계는 향후 현대엔지니어링의 행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최근 이라크에서 약 30억달러(한화 4조원) 규모의 해수 처리 플랜트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이라크 내 가스·석유·태양광·해수 처리 등을 아우르는 대형 가스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현대건설은 해수공급시설(WIP)을 맡는다.

공사는 바그다드 남동쪽 약 500㎞ 지점인 코르 알 주바이르 항구 인근에서 진행되며, 하루 500만 배럴 규모의 용수 생산이 가능한 해수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는 게 골자다. 이 플랜트에서 공급되는 용수는 이라크 주요 유전에 투입돼 원유 증산을 지원하게 된다. 발주처는 프랑스 토탈에너지스, 이라크 석유부 산하 바스라석유회사, 카타르 국영석유기업 카타르 에너지가 공동 참여한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은 플랜트 부문에서 각자의 강점을 토대로 독자적인 영업을 통해 수주를 이어왔다. 또 한편으로는 공동 수행을 통해 괄목할만한 성과도 쌓았다. 실제 양사는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8조4000억원)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5조1000억원)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터미널(3조6000억원) △사우디 아미랄 석유화학 프로젝트(6조5000억원) 등의 사업이 대표적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해외 플랜트는 단순 시공 능력을 넘어 발주처 요구와 현지 환경을 충족하는 경험이 핵심 경쟁력"이라며 "중동에서 이미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서로 경쟁하면서 강점을 키워왔으며, 각사의 강점을 바탕으로 필요한 경우 협업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또한 플랜트 사업 확대 의지가 강력하다. 올해 초 이사회 체제를 개편했다. 기존 △대표이사 △재무본부장 △건축사업본부장 3인 체제에서 건축사업본부 대신 손명건 플랜트사업본부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한 것이다. 플랜트 본부장이 이사회에 포함된 것은 7년 만에 있는 일이다. 최근에는 대표가 직접 주재하는 '수주결정회의'를 도입해 해외 프로젝트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식도 운영 중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글로벌 에너지 전환 흐름에 맞춰 미래 에너지 프로바이더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실적을 축적해 나가는 동시에 중동·동남아·중앙아시아 등 기존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유럽 등 신규 시장 개척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