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최수진 국민의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보급된 서빙 로봇은 약 1만 7000대다. 이중 60%가 중국산으로 추정되며 식당, 호텔, 공공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 의원은 이들 로봇이 외부 클라우드와 통신하며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해킹에 취약하며, 정보 유출 위험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로봇청소기처럼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품목(B2C)과 달리, 서빙 로봇은 기업 간 거래(B2B) 품목이라는 이유로 KISA 등 국내 기관에서 보안 실태조사나 점검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 의원은 서빙 로봇이 '한국형 빅브라더'의 통로가 될 수 있다며 제도 개편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행법상 정부의 보안 인증제도 국내 제품에 국한되어 있는데, 이를 수입 제품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국내 보안 대책 강화를 역설했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드론과 로봇을 '안보 위협 장비'로 규정해 연방정부의 구매 와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역시 중국산 로봇에 대한 데이터 주권 검증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