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영업일수 감소가 기업심리 악화 주원인
11월 전망치는 반등 예상…자동차·화학 중심 개선
|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CBSI는 전월 대비 1.0포인트 하락한 90.6을 기록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주요 지표를 활용해 산출한 기업 심리지표로, 기준값 100을 웃돌면 경기 전망이 낙관적임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제조업 CBSI는 전월보다 1.0포인트 떨어진 92.4를 기록했다. 생산(-0.8포인트)과 제품재고(-0.6포인트) 부문이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비제조업 CBSI 역시 같은 기간 1.0포인트 하락한 89.5로 집계됐다. 자금사정(-1.0포인트)과 채산성(-1.0포인트) 악화의 영향이 컸다.
한은은 제조업의 경우 1차금속·금속가공·고무·플라스틱 등 업종을 중심으로 BSI가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전방 산업인 건설업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자재 비용 부담이 커진 것이 주된 요인으로 지목됐다. 비제조업의 경우 도소매업과 정보통신업 부진이 두드러졌으며, 영업일수 감소와 영상물 제작·방송업체의 업황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
11월 CBSI 전망치는 이달보다 2.6포인트 상승한 91.1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자동차, 화학물질·제품, 전자·영상·통신장비 등을 중심으로, 비제조업은 운수창고업·도소매업·전기·가스·증기업 등을 중심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과 소비자 심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10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 대비 3.1포인트 상승한 94.4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도 같은 기간 0.7포인트 상승한 93.6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