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출자 예산 2배 이상 확대
역대급 R&D 예산 2조2000억 투입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추진
|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 같이 밝혔다. 한 장관은 먼저 벤처투자 시장 40조원 조성 로드맵을 밝혔다.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해 연기금·퇴직연금 등 벤처펀드 출자를 허용하고 금융권·국민 등의 벤처투자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중기부는 모태펀드 출자 예산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존속기한을 연장한다.
청년창업가 1000개사, 팁스(TIPS) 선정기업 1200개사 등 유망 창업기업을 매년 6000개사 이상 육성해 '모두의 창업' 시대를 개막한다. 이를 위해 '케이 스타트업' 포털에 경영지원 등의 기능을 고도화해 스타트업의 첫 번째 창구로 정립한다.
인공지능(AI)·딥테크 벤처·스타트업 집중 육성을 위해 13조5000억원의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내년에 본격 가동하고 '오픈 데이터 엑스 AI 챌린지' 개최 등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AI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역대 최대의 R&D(연구개발) 예산 2조2000억원을 돈이 되는 R&D에 집중 투자한다. 1조1000억원을 팁스 방식 R&D로 추진해 벤처캐피털이 선 투자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성장단계별로 매칭 지원한다. 한국형 미국식 중소기업 기술이전 프로그램(STTR) 제도 신설 등 기술사업화를 위한 R&D에도 2000억원을 배정한다.
뿌리부터 첨단까지 지역 기반 인공지능 전환(AX) 대전환을 추진한다. AI 중심 스마트 공장 1만2000개를 기업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급한다. 제조 AI 기술을 공급하는 전문기업을 500개사 육성하고 제조 AI R&D도 추진해 제조 AI솔루션을 매년 100개 이상 발굴한다.
케이 소프트파워를 활용해 수출국가를 다변화한다. 케이 소프트파워 전략 품목을 올해 말 100개, 2030년까지 500개를 육성해 정부·앵커기업이 함께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강화를 위해 여러 제도를 정비한다. 제3자 인수합병(M&A) 방식의 기업승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가칭)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등을 추진한다. 중소기업 제품 의무구매 기관을 50% 확대하는 등 공공조달 혁신도 추진한다. 유망 중기업의 신사업·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는 점프업 프로그램을 2030년까지로 연장하고 매년 100개사를 선발·지원한다.
선제적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해 소상공인의 재기지원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대출 보유 소상공인 약 300만 명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으로 위기징후를 포착한 후 경영진단을 통해 위기 수준을 분석한다. 지역상권 르네상스 2.0을 추진하고 대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소상공인이 연결된 융합 생태계를 조성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