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신문고' 등 주요 민원서비스 복구 완료
중대본 해제·차관급 대응본부 전환, 12월 전면 정상화 목표
|
행정안전부는 6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제15차 회의를 열고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현황을 점검했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709개 시스템 중 이날 오전 6시 기준 676개(95.3%)가 정상화됐다. 1등급 40개 시스템은 100% 복구됐고, 2등급 65개 시스템도 95.6% 수준에 도달했다.
특히 국민이 생활 속 위험요인을 신고할 수 있는 '안전신문고'가 전날 복구되면서, 국민 생명·안전과 직결되는 1·2등급 핵심 시스템은 모두 정상화됐다. '정보공개시스템'과 '119소방현장통합관리시스템' 등도 복구돼 공공정보 접근성과 재난현장 지휘 기능이 회복됐다.
윤호중 장관은 "복구 완료가 가시권에 들어옴에 따라 위기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하고 중대본을 해제한다"며 "차관급 위기상황대응본부 체계로 전환해 남은 복구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전센터 복구 대상 693개 시스템은 이달 20일까지,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 중인 시스템은 12월까지 완전 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윤 장관은 "위기경보를 낮췄지만 완전한 정상화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보시스템 등급제와 이중화 방식을 전면 재설계해, 재난과 보안이 강화된 인공지능(AI) 기반의 '신뢰받는 민주정부'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는 지난달 26일 오후 8시경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 교체 작업 중 발생했다. 이 사고로 7-1 전산실이 전소되면서 정부24·인터넷 우체국 등 709개 서비스가 중단됐다. 정부는 다음 날인 9월 27일 중대본을 가동하고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번 위기경보 하향은 중대본 가동 40일 만의 조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