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6일(현지시간) 하와이 소재 동서문화연구소(동서센터)가 이번주 발표할 예정인 보고서를 인용, 북한의 사설시장을 통한 거래가 급증하면서 북한 당국이 이러한 거래 활동을 부분적으로 통제하는 한편 거래과정에서 생기는 이윤을 강제적으로 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2004년과 2005년 중국의 11개 지역에서 1346명의 탈북자들과, 지난해 말 한국에서 300명의 탈북자를 상대로 한 인터뷰를 통해 작성됐다. 인터뷰에 응한 탈북자들은 대부분 30대 후반의 나이에 북한에서 농업과 노동에 종사하던 사람들이다.
보고서는 북한의 안전요원들이 사설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들을 아무런 재판 없이 가둘 수 있으며, 거래자들을 악명 높은 정치범 수용소에 한 달 정도 수용해 1차적으로 공포심을 심어준다고 전했다. 이는 또다시 사설 시장에서 거래를 하다 재차 적발될 경우 쉽게 금품을 내놓을 수 있게 만들려는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WP는 사설시장이 급격히 증가한 최근 수년 사이에 북한에서의 주민 통제와 탄압의 방식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