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많은 숙제 남긴 ‘고교 한국사 교과서’ 승인

[기자의눈] 많은 숙제 남긴 ‘고교 한국사 교과서’ 승인

기사승인 2013. 12. 11. 06: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류용환 사회부 기자
아시아투데이 류용환 기자 = 역사 왜곡 등의 논란이 일었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문제가 교육부의 수정·보완 완료로 일단락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의 최종 승인을 받은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은 내년 2월 학교에 보급될 예정이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한국사가 필수 과목으로 채택된 만큼 이 과목의 비중은 그만큼 커졌다.

하지만 지난 8월30일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 교과서 최종 합격 이후 불거진 오류 등의 논란은 잡음이 끊이지 않았고 시민단체 등은 검정취소를 요구하는 항의가 잇따랐다.

상황이 악화되자 교육부는 최종 합격판정 받은 한국사 교과서에 대해 수정명령 방침을 발표했고 또다시 논란이 이어졌다. 교과서 집필진은 교육부의 수정 지시를 거부했고 결국 법원에 수정명령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수정심의위원회 참여에도 전문가들은 참여를 꺼려했다. 문제가 불거진 한국사 교과서 수정에 참여한다는 것에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수능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교과서의 비중을 높였다. 그만큼 교과서는 단순 참고서적이 아니다. 교육열이 높은 한국에서 수능 한 문항에도 논란이 커진다.

처음부터 제대로 검정을 진행했다면 수개월간의 논란은 발생하지도 않았다. 뒤늦게야 교육부는 검정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사실상 그동안 교과서 검정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정한 셈이다.

교육은 책임에서 시작된다. 잘못된 교육은 학생의 미래를 뒤바꿔 놓는다. 관점이 다르면 해석도 달라진다. 역사는 그만큼 중요하다. 올바른 역사인식을 갖도록 역사교육을 강화한 교육부가 처음부터 오류를 범한 것은 교육의 중요성을 잃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한국사 교과서 외에도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과서는 다양하다. 어떠한 오류가 나올지 모른다. 오류가 발생하고 수정하는 것이 아닌 처음부터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공교육 정상화를 외치는 교육 당국의 책임있는 행동이 필요하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