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구대 비정상화 논란…“서남수 개인감정 탓” 주장 나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0303010001239

글자크기

닫기

류용환 기자

승인 : 2014. 03. 03. 18:51

교육부가 대구대(학교법인 영광학원)를 비정상화로 몰아가는 것은 서남수 교육부 장관의 개인감정이 작용한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 장관은 현재 박사학위 논문 표절로 시민단체에 의해 청와대에 사퇴 요청서가 접수된 상태다.

대구대 정상화를 위한 교직원 공동대책위원회는 3일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는 서 장관이 대구대 구재단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 때문에 ‘임원 간 분규’를 이유로 임시이사 파견을 다시 획책하고 있다는 소문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과거 구재단 측이 교육부 감사관에게 뇌물을 제공했다는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과장급이던 서 장관을 포함한 교육부 관료들에게 매우 해로운 증언을 했고, 이로 인해 서 장관과 가까운 동료들이 고초를 겪거나 교육부를 떠나게 돼 서 장관이 구재단 측에 악감정을 가지게 됐다”는 설명이다.

공동대책위 관계자는 “서 장관에 대해 ‘공과 사를 구분할 줄 모르는 사람이며, 개인적인 사감(私感)과 구원(舊怨) 때문에 대구대학교를 손보려한다’는 소문이 대구 지역에 파다하다”고 말했다.

1994년 관선이사가 파견된 영광학원은 2011년 정이사 체제로 전환된 바 있다. 하지만 영광학원 이사회는 정상화 과정에서 이사 7명 중 구재단 추천은 3명만 채워졌다. 이사회 과반수를 구재단이 차지하는 관행에서 벗어나는 조치였다. 이로 인해 이사회 구성을 놓고 재단과 학교 측 구성원 간 갈등이 깊어졌다.

이후 이사회 결원이 발생했지만 이사회 내부의 갈등으로 이사 후보를 추천하지 못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임원 간 분쟁’을 이유로 현 이사들을 해임하고 임시이사체제로 회귀하기 위한 청문회를 실시했다. 교육부의 임시이사체제 회귀 시도는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반대로 연기됐다.

공동대책위는 “대구대 사태의 본질은 학교를 차지하려는 구재단과 신재단과의 싸움”이라며 “그런데도 교육부는 이 싸움을 말릴 생각은 하지 않고, 2011년 학원정상화 과정에서 영광학원 구재단 측에 이사회의 과반을 배정하지 않음으로써 임원 간 분규를 방치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 장관은 대구대를 가로채려는 신재단 세력이 이사 해임과 임시이사 파견을 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번연히 알고 있으면서도 청문회를 통해서 임원 간 분규를 공론화하고, 그것을 기화로 이사 해임과 임시이사 파견을 주도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대구대 법인에 문제가 발생해 임시이사를 파견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교육부 사립제도과 관계자는 "대구대가 정상화되면서 이사회가 운영되어 오다가 임원 간 여러 갈등관계가 심해진 것"이라며 "교육부가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아니다. 조금씩 문제가 진행되고 갈등이 지속돼 온 것이다. 교육부가 그동안 놔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원 간) 갈등이 깊어지니까 가닥을 잡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장관의 개인감정 의혹에 대해선 "그건 모르겠다. (감정에 의해) 이뤄진다고 보면 안 된다. 의혹은 잘 모르겠다. 사유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류용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