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3법’ 중 가장 먼저 실무협상에 들어간 세월호TF는 이날 오후 3시 30분께 서울 여의도 국회 운영위원회의실에서 ‘2+2(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경대수 의원+새정치연합 백재현 정책위의장·전해철 의원)’ 협상을 시작했다. TF는 지난 19일에도 첫 회의를 열었지만 특별검사추천위의 유가족 참여 여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빈손으로 마무리했다.
비공개 회의에 앞서 주 정책위의장은 “(세월호 특별법 처리) 목표가 31일인데 오늘 결론 내든지 한번 더 만나든지 하자”며 “새정치연합에서 결단을 내려주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백 정책위의장은 “최선을 다해서 국민과 약속한 날에 (처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2시간에 걸친 비공개 회의에서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여야는 이날 오후 9시부터 ‘심야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주 정책위의장은 “(우리는) 이틀 정도 더 고민해보자고 했는데 저쪽(새정치연합)이 내일 모레 국정감사 때문에 시간이 없다고 오늘 또 만나자고 했다”고 전했다. 주 정책위의장은 “(의견)접근이 된 것도 있고 안 된 것도 있는데 이따 모여서 접근 안 된 부분에 한해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백 정책위의장은 “(합의를) 하려고 애쓰고 있다. 밤을 새워서라도 매듭을 지으려고 하는데 잘 (안 된다)”며 “최선을 다해 (이견차를) 좁힐 때까지 완전 좁히려고 한다”고 했다. 백 정책위의장은 특검 후보군 추천의 유가족 참여 부분에 대해선 “그건 결론이 안 날 것 같다. 그 꼭지는 다른 층에서 따야하지 않겠냐”며 양당 지도부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앞서 이완구 새누리당·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여의도 한 호텔에서 오찬 회동을 하고 이미 합의한 대로 ‘세월호 3법’을 이달 말까지 처리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 자리에 배석한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세월호 참사 후속대책을 위한 세월호 특별법·정부조직법·범죄수익은닉에관한처벌법(유병언법)에 대해선 최대한 협조해 이달 말까지 처리하자고 다시 이야기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