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신한·우리·KEB하나·KB국민 등 4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신한은행 신입사원은 작년 기준으로 5500만원의 급여를 받아 ‘연봉킹’에 올랐다.
연소득 5500만원은 정부가 잡고 있는 누진세 부담 증가의 기준선이다. 중산층을 분류하는 여러 기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졸 군필자로 신한은행에 입사하면 단박에 중산층으로 편입될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은행이 5100만원으로 2위다.
국민은행은 4900만원, KEB하나은행은 48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미필자를 기준으로 하면 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이 각각 4800만원으로 공동 1위이고, 신한은행(4300만원)과 우리은행(4200만원)이 그 뒤를 따랐다.
신한은행은 군필자와 미필자의 임금 차이가 1200만원으로 가장 많이 났다.
우리은행도 900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국민은행(300만원), KEB하나은행(200만원)의 차이는 두 은행에 비해 작았다.
군필자와 미필자를 가중 평균한 신입행원 연봉은 4650만~4900만원 수준이다.
직장인을 기준으로 연봉 상위 3% 안에 드는 ‘연봉 1억원’을 받으려면 시중은행에서는 일반적으로 16~18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은행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부팀장급 승진을 앞둔 고참 차장 정도가 평균 연봉 1억원 정도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