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신문은 매년 해외 대학으로부터 입학허가를 받는 인도 학생들의 수가 20만명 안팎이라며 이같이 보도하고, 그 원인으로 △인도 내 고등교육 기관의 부족 △질 나쁜 교육기관의 증가 △중산층 인구와 수입 증가 등을 꼽았다.
인도에는 714개의 종합대학과 4만개 안팎의 단과대학이 있다. 재학생은 2600만명에 이른다. 이는 2020년 4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 7.0% 이상의 경제성장에 따른 중산층의 급증이 그 원인이다. BS는 중산층이 10년 후 현재 5000만명에서 5억명으로 10배 늘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을 위해 600~700개의 종합대학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GDP 10%선의 교육예산으로서는 이 같은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게 교육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대안으로 기업들이 대학을 설립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순이익의 2% 이상을 사회공헌활동(CSR)에 투입하도록 하는 법의 취지를 살려 부족한 대학의 수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진달 철강전력(JSPL)은 인도의 하버드대학을 목표로 2009년 설립자의 이름을 따 O.P. 진달(Jindal) 글로벌 대학(JGU)을 설립했다. 전자 및 정보통신 서비스 기업인 HCL과 정보통신 서비스 업체 위프로(Wipro)도 회장의 이름을 붙인 시브 나다르(Shiv Nadar)대학(SNU) , 아짐 프렘지(Azim Premji)대학을 각각 만들었다. 2014년에는 경제계 원로들이 공동으로 재학생 전원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 아쇼카(Ashoka)대학을 설립하기도 했다.
이들 대학의 재학생 상당수는 장학금이나 연구비 지원을 받고 있다. JGU는 예산의 20%에 해당하는 2억5000만 루피(45억원)를 장학재원으로 쓰고 있다. SNU 재학생 85%는 장학금이나 재정지원을 받고 있고, 모든 박사과정 재학생에게 매월 3만5000 루피(63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되고, 등록금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하지만 이 같은 파격적인 지원은 수년 내 재원 문제로 중단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결국 증가하는 고등교육의 수요의 일정 부분은 외국 대학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나라야나 무르티(Narayana Murthy) 인포시스(Infosys) 공동창업자는 지난 1월 인도가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동안 국내에서 일한다는 조건으로 향후 50년 동안 매년 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자 1만명을 미국 대학에 보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미국 고등교육연구소 ‘국제교육연구소(IIE)’에 따르면 2014~2015학년도 미국 대학에 유학 중인 인도인 학생은 13만2888명으로 중국 69만4000명에 이어 2위다. 3위는 한국 6만3710명이다. 이들 인도 유학생 다수는 높은 급여와 풍부한 연구비가 보장되는 미국에 남는다. 이들을 포함한 재미 인도인이 본국에 보내는 송금은 115억 달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