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덕수 성남시의원 “김현지, 정치공작 전문가…국정감사 출석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4884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승인 : 2025. 10. 16. 10:39

"김현지, '성남 괴문자' 사건 벌금 500만원 확정"
성남의제21 예산 관련 "김현지 출석 4차례 요구…이재명·김용 등 반대"
"성남시의회 본회의장 시위 '김현지가 시켰다' 직접 들어"
기자회견하는 이덕수 시의원<YONHAP NO-2176>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으로부터 피해 받았다고 주장하는 경기도 성남시의회 이덕수 시의원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이덕수 성남시의원이 16일 '2013년 성남 괴문자 발송' 사건과 관련해서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으로부터 피해를 받았다며 김 실장이 이번 국정감사에 출석해 경기도 비서관 당시 논란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2010년 당시 김현지 경기도청 비서실 비서관은 성남시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는 단체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사무국장으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3년, 김순례·이덕수·이재호 등 새누리당 소속 성남시의원들을 비방하는 '성남 괴문자' 3만3000여 건 발송 주도자로 당시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간부가 지목됐고, 그 인물이 김 실장(당시 비서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시의원과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 등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괴문자 발송 등 정치공작을 자행하고 유죄까지 받은 인물이 대통령의 최측근 고위직으로 국정을 담당한다는 사실은 참으로 무서운 일"이라며 "지금이라도 김현지는 국정감사에 출석해 사실관계를 밝히고 고위공직자로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의원이 해당 사건 관련해서 공개한 2013년 10월 10일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의 판결문에는 '피고인(김현지)을 벌금 150만 원에 처한다'고 적혔다. 이후 이 시의원은 해당 판결문을 근거로 김 실장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고, 성남지원은 '피고(김현지)는 원고(이덕수)에게 500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고 밝혔다.

이 시의원은 이후 성남시가 성남의제21에게 지원하고 있는 예산 관련 의혹과 관련해서 김 실장의 출석을 4차례 요구했으나, 당시 이재명 성남시장과 김용 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시의원들이 저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대통령은 김 실장을 보호하기 위해 '학업 등의 핑계'를 대면서 단 한 차례도 시의회에 출석시키지 않았다"며 "당시 민주당 김용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시의원들은 김 실장을 보호하기 위해 행정감사에서 김현지에 대한 증인·참고인 채택을 적극 반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5년 민주당이 국회에서 김 실장을 보호하기 위해 증인 채택을 거부하고 있는 행태와 똑같은 일이 12년 전 성남시에서도 동일하게 있었다"고 했다.

아울러 지난 2014년 손해배상소송 진행 중 김 실장이 이 시의원(당시 성남시의회 경제환경위원장)을 찾아왔다고 말했다. 이 시의원에 따르면 김 실장은 이 대통령(당시 성남시장)의 예산 편성안 통과와 소송 취하를 이 시의원에게 요구했다. 이후 괴문자 발송 사건 관련 대화를 나누면서 이 시의원은 김 실장에게 사퇴를 요청했다.

이어 "김 실장은 '의원님 아이들이 겪었을 고통과 가정불화는 생각하지 못했다. 충분히 공감하며 잘못했다'며 닭똥 같은 눈물을 흘리며 사퇴를 약속했다"며 "그러나 김현지는 그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저는 악어의 눈물만을 보았을뿐"이라고 했다.

이 시의원은 "김현지 정치공작의 전형적 흐름은 관변·어용단체를 동원해 성남시의회 본회의장 앞에서 시위함으로써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식이었다"며 "대표실 난입 및 의원에 대한 물리력의 행사와 시위 동원 여성 오 씨의 성추행 고소, 기자들의 대서특필 기사화의 형태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저는 당시 동원된 다수 인원으로부터 '김현지가 시켰다'는 말을 직접 들었다"며 "이 사건은 김 실장에 의해 철저하고 계획적으로 자행된 정치공작이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지금이라도 김 실장은 국정감사에 출석해 백현동 옹벽아파트 환경영향평가 의견서 제출 내용과 대장동 아파트 보유 경위, 경기도 비서관 시절 정무직 공무원 하드디스크 증거인멸 교사 의혹, 국정 인사 개입 의혹 등에 대해 철저히 사실관계를 밝히고 고위공직자로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체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