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박 대통령은 국회에서 탄핵이 가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의 심의 과정을 봐 가면서 대응해 나갈 뜻을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 당론으로 채택한 4월말 퇴진·6월 조기 대선 방안도 공식 수용했다.
이에 따라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오는 9일 예정된 국회 탄핵소추안 표결은 가결·부결 여부만 남았으며 탄핵 표결에 대한 더 이상의 변수는 소멸됐다.
특히 지난 3일 촛불집회에서 엄청난 탄핵에 대한 민심에 놀란 새누리당의 비박(비박근혜)계와 친박(친박근혜)계 일부까지 탄핵 표결로 기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나 청와대, 새누리당 지도부 모두 탄핵 표결을 막을 현실적인 방도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 새누리당 친박이 탄핵 표결의 ‘정면 승부’를 택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와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청와대로부터 연락을 받고 2시30분부터 박 대통령과 50여 분간 긴급 회동을 했다.
두 사람은 회동 직후 국회에서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의원총회에 앞서 박 대통령과의 회동 내용을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회동에서 “(9일 국회에서) 탄핵 절차가 예정대로 진행이 되면 탄핵 소추 절차를 밟아서 가결이 되더라도 헌법재판소 과정을 보면서 국가와 국민 위해 차분하고 담담하게 갈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고 정 원내대표가 전했다.
박 대통령은 “탄핵이 가결되면 상황을 받아들여서 모든 노력을 다 하겠다”면서 “당에서 이런 입장을 생각해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박 대통령은 퇴진 시점과 관련해 “당에서 4월말 퇴진·6월 조기 대선을 하자는 당론을 정했다는 소식을 듣고 나라를 위해 정국을 안정적으로 풀어가야 하다는 생각에서 당론을 정한 것으로 생각을 했다”면서 “그 때부터 그대로 받아 들여야 되겠다는 생각을 쭉 해왔다”며 새누리당 당론을 공식 수용했다.
이 대표는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박 대통령의 생각은 탄핵하는 것보다 사임 쪽으로 받아주기를 원하는 바람과 심정을 전달한 것 같았다”면서 “박 대통령의 분명한 뜻과 발언은 안정적 정권 이양을 위한 사임을 수용해 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의원들은 9일 탄핵 표결에 참석해 자유투표를 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9일 탄핵 절차를 헌법에 따른 절차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을 (박 대통령에게) 설명드렸다”면서 “독립적인 헌법 기관의 의원들의 개개인의 양심에 따라서 자유의사에 따라 표결에 임하겠단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도 고개를 끄덕이면서 입장을 수용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