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보은의 젖소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축산 농가와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구제역은 소, 돼지, 사슴 등 발굽이 갈라진 가축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전염병이다. 2010-2011년에는 무려 32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구제역으로 살처분됐다.
지난해 3월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다가 이번에 보은에서 발생한 것이다. 신속하고, 과감한 확산방지 대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피해가 막심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는 젖소 195마리를 사육하고 있는데 이를 모두 살처분했다. 또 발생농장 및 반경 3㎞ 이내 99농가 약 1만 마리의 소와 돼지 등에 대해서도 이동제한 조치가 내려졌다. 당국은 충북 보은 소재 소, 돼지 등 우제류 농가에서 사육 중인 5만 5000마리에 대해 긴급 예방접종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구제역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총력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해 11월 발생한 조류독감(AI)으로 무려 3200만 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 된상태에서 발생해 위기감을 더 키우고 있다.
AI가 줄기는 했지만 한강에서까지 발견되는 등 아직도 기세를 부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구제역까지 창궐한다면 방역에 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AI로 계란파동을 겪고 있는데 구제역으로 쇠고기와 돼지고기 파동까지 겹치면 사태는 심각할 것이다. 농가의 피해는 물론 소비자들도 어려움에 직면해야 한다.
구제역은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AI 초기대응이 미숙했던 점을 알고 있다. AI의 경우 지난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해 일본은 114만 마리가 매몰됐는데 우리는 23배나 많은 3200만 마리가 매몰됐다. 일정 거리 내 가금류를 모두 매몰했기 때문이다. 구제역도 일정 거리의 가축을 다 매몰해야 되는지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소와 돼지, 닭과 오리는 국민이 즐겨 먹는 고기인데 이럴 경우 물가에도 악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당국은 구제역이 사람에게 전염되는 병이 아니며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률이 소 97.5%, 돼지 75.7%로 높아 AI처럼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의 노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축산농가의 철저한 예방과 신속한 신고다. 또 주민들이 부문별한 이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과 차량의 이동이 잦으면 병균이 옮길 수밖에 없다. 구제역 확산방지는 축산 농가나 방역 당국만의 일이 아닌 전 국민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