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호주 한부모 가정 아동빈곤 급증…‘집값은 뛰고, 월급은 제자리’ 사회 양극화 반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70802010001046

글자크기

닫기

김지수 기자

승인 : 2017. 08. 02. 14:57

hilda
사진출처=/멜버른 대학교 홈페이지
호주에서 한부모 가정의 아동 빈곤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금 소득은 제자리인 반면 주거비·양육비는 늘어나고 정부의 복지는 줄어들면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 호주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영국 가디언은 1일(현지시간) 멜버른 대학교의 ‘호주 가계 소득과 노동 역학 조사(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in Australia·HILDA)’ 보고서를 인용해 한부모 가정의 아동 빈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HILDA 보고서는 2001년부터 호주 전역의 9500가구의 1만 7000명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를 통해 호주에서 한부모 가정의 아동이 빈곤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아동 빈곤율이 약 10% 수준인 반면 한부모 가정의 아동 빈곤율은 그 두 배가 넘는 20~25%에 달했다.

호주에서 한부모 가정의 아동 빈곤율이 급증한 것은 호주 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워지기 시작한 2012~2015년의 일이다. 이 때부터 아동 양육비가 급증하면서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이 급격히 가중됐다.

특히 지난 13년간 한부모 가정의 양육비는 부모가 양쪽 다 있는 경우의 양육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이 일주일 동안 지출하는 양육비가 13년새 56달러(약 6만 3000원)에서 114달러(약 12만 8000원)로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양부모 가정의 경우 같은 기간 93딜러(약 10만 4000원)에서 162달러(약 18만 2000원)으로 74% 증가하는 데 그쳤다.

basic
이같은 원인은 한부모 가정의 경우 생계를 위해 대리 양육인을 꾸준히 써야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2014년과 2015년 기준 50.7%의 한부모 가정이 돈을 지불하고 대리 양육자를 고용한 것으로 나타나 양부모 가정의 경우 대리 양육자 고용 비율 46.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한부모 가정의 자가 소유율은 11.2%로 다른 어떤 가족형태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더구나 이전에 자가를 소유했던 경우에도 집을 처분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이 자가를 소유한 비율은 2002년에서 2014년 사이 8.2%포인트나 감소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로저 윌킨스 교수는 정부 당국의 복지 시스템조차도 갈수록 한부모 가정을 대상에서 제외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잘해나가는 가정도 있기는 하지만, 한부모 가정은 다른 가정에 비해 빈곤율이 훨씬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취학 연령의 아동이 있는 경우에는 양육비가 (다른 가정 형태의) 거의 두 배로 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윌킨스 교수는 “한부모 가정의 주택 소유율은 매우 낮으며, 이는 미래의 소득 수준도 낮아질 것임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윌킨스 교수는 호주 전반으로 시선을 넓혔을 때도 경제적 상황이 전년에 비해 그리 장밋빛은 아니라고 경고했다. 특히 집값 상승으로 청년층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18~39세 청년층의 평균 주택담보대출이 2002년 16만 9201달러(약 1억 9000만 원)에서 2014년 33만 6586달러(약 3억 8000만 원)로 두 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0세 이하 주택 소유 비율은 36%에서 25%로 감소했다. 특히 시드니의 경우 젊은 층의 주택 소유율은 20%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소득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윌킨스 교수는 호주 ABC 방송에 “가계소득 증가가 멈췄다”면서 “2012년 이후 보통 가정의 소득은 사실상 조금씩 감소 중”이라고 밝혔다.

주택난이 가중되면서 호주 젊은이들이 부모의 품을 떠나는 나이는 점점 더 늦어지고 있다. 22~25세에도 독립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비율이 남성의 경우 2001년 43%에서 2015년 60%로 크게 늘었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 2001년 27%에서 2015년 48%로 1.8배나 증가했다.

보고서는 호주 연방 정부가 복지를 강조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호주 국민들의 복지 의존도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는 호주의 복지 시스템이 수혜자들에게 장기적 도움을 주기 보다는 일시적 사회 안전망 역할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윌킨스 교수는 “젊은층이 주택 소유나 재정, 사회적 혜택에서 배제되는 것은 우려스럽다”면서 “정부의 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김지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