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정성 잣대·검찰 부담↑’ 검찰, 스트레스에 몸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80926010014036

글자크기

닫기

허경준 기자 | 이상학 기자

승인 : 2018. 09. 28. 06:05

전문가 "높아진 공정성 의식…검찰 부담 커져"
檢, 각종 심리치료·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진행
검찰 스트레스
#1. 재경지검의 A부장검사는 몇 해 전 지방근무를 하면서 끔찍한 일을 겪었다. 지역 조직폭력배의 밀수 사건을 수사하던 중 뜻하지 않은 협박을 받게 된 것이다. 당시 조직폭력배는 수사과정에서 A부장검사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와 거주지의 위치가 어딘지 아는 듯한 협박성 진술을 내놨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위해가 발생하지 않아 예방적인 처벌이 불가능했고, A부장검사는 가족의 거주지를 일정 기간 다른 곳으로 옮겨야만 했다.

#2. 수도권 모 지청에 근무하는 여성·아동 전담 수사관 B씨는 피해사례를 매일 접하다 보니 자신의 딸에 대한 걱정이 커져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B씨는 중학교 3학년인 딸이 저녁 무렵 연락이 안 되거나 늦게 귀가하면 그간 자신이 처리해온 사건의 사례들이 떠올라 큰 불안감에 휩싸인다고 털어놨다.

본지가 파악한 검찰 구성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공기업과 사기업 전체 평균 수준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공기업과 비교하더라도 검찰의 스트레스 지수는 평균보다 높았으며, 설문에 참여한 검찰 직원들 중 스트레스 위험군과 주의군으로 분류된 비율이 절반을 상회하고 있어 ‘위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민의 삶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근무 특성상 잘못된 판단을 내렸을 때 뒤따라올 결과의 책임에 대한 우려에서 나오는 심리적 압박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임명호 단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예전보다 높아졌다”며 “어려서부터 경쟁적이고 성적지향적인 환경에서 자라다 보니 불공정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이나 저항이 심해졌고, 검찰 역시 이 부분에 대한 부담이 과거보다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느낌 검찰은 2012년부터 직원들의 심리치료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외부 전문 상담가를 통한 직무스트레스 등에 대한 개인·집단 심리 상담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각 검사실 및 부서 단위로 2박3일 일정으로 자연 친화적인 공간에서 스트레스 해소와 관계성 향상을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3년부터 ‘PROS-힐링’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13년부터 시작된 PROS-힐링 프로그램에는 매년 200명이 넘는 검사·수사관 등이 참여했다. 지난 7월 진행된 1차 프로그램에는 서울고검 직원 35명이 참가했으며 오는 12월까지 전국검찰청 직원 11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검찰은 전국 8개 병원과 협의해 건강 및 스트레스 검진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조사자 마음건강케어’ 프로그램은 강력범죄 수사 담당자 등 고위험 및 격무부서 분야 근무자를 대상으로 과중한 업무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신체적 이상 징후를 조기에 진단하고 대처하기 위해 2014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올해 7월 말 기준으로 207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해마다 평균 800여명이 넘는 직원들이 도움을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스트레스 진단 결과를 계기로 심리 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며 “그간 권위적이었던 검찰 문화를 청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경준 기자
이상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