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브레이크 없는 감원 열풍의 중국, 태풍 가능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303010000601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19. 03. 03. 15:34

경기 하강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인 듯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에 과거 보기 어려웠던 기업들의 감원 열풍이 불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의 악영향과 경기 하강 가능성이 다분한 현재의 분위기로 봐서는 향후 허리케인급의 태풍으로 변할 조짐 역시 농후하다. 경기의 급속 냉각으로 확장일로를 달리던 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꺼낸 카드이기는 하지만 해고로 내몰리는 노동자들이나 정부 당국으로서는 뼈 아픈 대목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베이징 소식통의 3일 전언에 따르면 최근 실적이 급속도로 나빠진 자동차 업체들의 감원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미국 회사인 포드와 현지 국영업체 창안(長安)자동차의 합작사인 충칭(重慶) 창안포드의 행보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지난 2월 말 현재 1000명 가까운 인력을 내보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사태 이후 불거진 혐한 정서로 판매난에 시달리는 북경현대 역시 마찬가지. 최근 창안포드와 비슷한 인력을 정리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보언광학
해고된 광둥성 후이저우의 보언광학 노동자들이 회사의 방침에 항의하고 있다. /제공=검색엔진 바이두(百度)
스타트업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부동의 차량공유 업계 1위인 디디추싱(滴滴出行)이 이에 해당한다. 지난 2월 중순 전체 인력의 15% 정리해고 방침을 확정하면서 감원 열풍 대열에 합류할 예정으로 있다. 감원이 이뤄질 경우 2000여 명이 졸지에 실업자로 내몰리게 된다. 글로벌 업체의 협력 회사도 경기 하강의 유탄을 피하지 못했다. 비운의 주인공은 애플의 협력사인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의 보언(伯恩)광학으로 무려 8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경기 하강의 분위기가 살벌한 양상으로 변하자 선제 대응에 나서는 대기업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가장 먼저 치고 나간 업체는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중 하나로 꼽히는 징둥(京東)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불황에 대비해 고위 관리직 10% 정리 방침을 확정했다. 징둥의 이런 선제 대응은 앞으로 라이벌 업체인 알리바바를 비롯해 바이두(百度), 텅쉰(騰訊) 등 초우량 기업들의 행보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감원 열풍의 후폭풍은 안면 인식 기술 분야의 독보적 기업인 쾅스(曠視)에도 미치게 됐다. 업계 관계자의 전언에 따르면 15% 감원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명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인 저우잉(周穎) 씨는 “지금 경기가 나쁜 것은 사실이다. 내로라 하는 대기업들도 일단은 생존을 염려해야 할 정도다. 그렇다면 가장 손 쉬운 생존 방법은 감원 이 외에는 없다”면서 현재 기업들의 감원 열풍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채용 시장이 활황 국면을 보인다면 그것도 이상하다고 해야 한다. 실제 대부분 기업들이 예년에 비해 대폭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계획된 인력 충원을 취소하고 있다. 광둥성 선전의 의료장비 제조업체 마이루이(邁瑞)의 갈팡질팡 행보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최근 전국의 50개 대학 졸업생 485명을 채용했다가 1주일 만에 절반을 해고한 후 여론이 나빠지자 다시 받아들이기로 한 것. 분위기를 보면 조만간 이들을 포함한 직원들 상당수가 다시 백척간두의 위기로 내몰릴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중국 기업들이 감원 카드를 꺼내드는 것은 사실 부득이한 측면이 있다. 미·중 무역전쟁 이후 대부분 기업들의 화두가 이른바 ‘훠샤취(活下去·생존)’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세기 진입 이후 지속적으로 이어진 호황기에 대대적 인력 확충에 나선 행보 역시 이들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되고 있다. 향후 중국 경제는 상당 기간 동안 좋아질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기업들의 감원 열풍 역시 이제 시작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