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북, 또다시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맞을 짓’ 안하는게 현명”(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806010003376

글자크기

닫기

우성민 기자

승인 : 2019. 08. 06. 18:07

황해남도서 내륙 관통해 발사…'최종단계 시험'
北, 이틀만에 또 발사체 발사
북한 발사체 발사 모습. / 연합
북한이 또다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지난 2일 단거리 발사체 2발을 쏜 지 4일 만으로 12일 새 네 번째이다.

합참은 6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5시 24분경, 5시 36분경 북한이 황해남도 과일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이번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의 고도는 약 37㎞, 비행거리는 약 450㎞, 최대 비행속도는 마하 6.9 이상으로 탐지됐다. 한·미 정보당국은 이번 단거리 미사일을 지난 7월 25일에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비행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25일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3을 2발 발사했다. 당시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됐으며 고도 50㎞로 각각 600여㎞를 비행했다.

또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31일과 이번 달 2일 발사한 발사체에 대해서도 탄도 미사일로 분석했다. 다만 북한은 이들 발사체에 대해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라며 관련 사진까지 공개했음에도 한·미는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고수하고 있어 양측의 입장이 엇갈린 상태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사체가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라면 안정성을 갖춰 내륙횡단 시험을 한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를 7월 31일과 8월 2일 두 차례 총 4발을 시험 발사했다”며 “안전을 고려해 바다 쪽에서 초기 시험발사를 하고 성공적인 발사로 어느 정도 안정성에 자신감이 생기자 내륙을 관통하는 추가시험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한이 위험성을 감안하고 내륙을 관통해 발사한 것은 무기체계의 안정성이 그만큼 확보됐다는 것”이라며 “이번 발사는 최종단계 시험이라고 볼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어 신 센터장은 “북한 전역 어디서든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우리 군의 킬 체인(전략 표적 타격)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 5월에도 동해 부근인 호도반도 일대에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고 닷새 뒤 서해 부근 구성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해 미사일은 내륙을 관통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

한미연합연습
2010년 11월 서해서 실시된 한·미 연합훈련./연합
◇북한, 발사와 동시에 한·미 연합연습 비난 담화

북한이 이전부터 한·미 연합연습을 앞두고 비난을 이어온 만큼 이번 발사는 지난 5일부터 진행되고 있는 연합연습에 대한 반발 차원의 무력시위인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북한은 이날 발사 직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연합연습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북한은 “한국이 그렇게도 안보위협에 시달리고 있다면 차라리 ‘맞을 짓’을 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한 처사”라며 막말에 가까운 발언을 내뱉었다.

이어 북한은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군사적 적대행위들이 계속되는 한 대화의 동력은 점점 더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한·미 군 당국은 연합연습이 북한의 반발과 북미 비핵화 협상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연습 명칭에서 ‘동맹’이라는 표현을 뺀 것으로 전해졌지만 그럼에도 북한의 비난 강도는 거세지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도발 시기를 살펴보면 이전의 경우 한·미 연합훈련 기간 동안 대응 차원으로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를 전개해왔다.

2017년 3월 6일에는 대규모 야전 실기동훈련(FTX)인 독수리(FE)훈련 중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했고, 2016년에도 키리졸브(KR)와 FE 훈련 기간을 전후해 10차례에 걸쳐 총 21발의 미사일과 방사포를 발사했다.

한·미는 이번 연합연습 기간 중 북한의 발사체 발사 등 추가적인 도발 가능성 등이 작지 않다고 보고 대북 감시태세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성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