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이화여대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연구협력관 입주 기념 헌정식 개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90924010013479

글자크기

닫기

김서경 기자

승인 : 2019. 09. 24. 18:23

붙임2_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입주하는 연구협력관 사진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양자나노과학연구단(나노연구단)이 26일 오후 4시께 서울 서대문구 교내 캠퍼스 중강당에서 ‘연구협력관 입주 기념 헌정식’을 개최한다. 사진은 나노연구단이 들어설 입주협력관. /제공=이화여대
이화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양자나노과학연구단(나노연구단)이 오는 26일 오후 4시께 서울 서대문구 교내 캠퍼스 중강당에서 ‘연구협력관 입주 기념 헌정식’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과학계에서 노벨상에 버금가는 권위를 자랑하는 카블리상(Kavli Prize) 수상자인 돈 아이글러 박사가 직접 나서 ‘가장 작은 세계에 있는 충분한 공간·아무도 가지 않은 곳을 용감하게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대중 강연을 한다.

이화여대에 따르면 이 같은 제목은 지난 1959년 나노 기술을 처음 소개한 것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강연 ‘가장 작은 세계에 있는 충분한 공간(There i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날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총장과 김영덕 기초과학연구원 지하실험연구단 단장도 자리해 축사를 전한다.

2017년에 출범한 나노연구단은 나노 단위 세계의 원자들에서 일어나는 양자역학적 성질을 탐구해 미래 기술의 초석을 놓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나노연구단은 원자 하나로 만든 세상에서 가장 작은 메모리, 원자 한 개의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등 선구적인 연구 성과들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이화여대 연구협력관은 나노연구단이 원자를 분석할 때 쓰는 주사터널링현미경(STM) 등 연구에 최적화된 공간, 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STM은 에어컨이나 주변 찻길에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정도의 미세한 진동에도 반응한다. 이에 이화여대는 이 같은 미세한 진동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연구협력관 내 거대한 콘크리트 실험실 안에 에어스프링이라는 공기 주머니를 뒀다.

대중 강연 후에는 연구단 주최 미술공모전 ‘양자의 세계’ 시상식을 열린다. 이날 공모전은 연구단의 연구 주제인 양자 나노과학을 대중이 배워서 자신의 목소리로 재해석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수상작은 총 5점으로 △하나, 혹은 두 개의 향(조민정) △무제 1, 2(윤민지) △밤의 환영으로부터 온 상태 메시지·겹쳐지는 다중세계(윤인선) △인식의 가벼움에 대하여(김다슬) △가가도넛(말탁진·이호탁, 이려진, 조말)’이다.

이날 1등을 차지한 조민정씨는 “양자역학에서는 전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알 수 없다”라며 “영상 작품 속의 발화하는 향은 우주의 무한한 경우의 수를 상상하는 나의 자화상이다”라며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헌정식은 영한 순차통역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학생 및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다.
김서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