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랭시 대표 귀국 난항…정치적 불안정도 높아져
|
12일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10월 9일까지 CNRP의 활동가들과 전직 관료들 37명이 체포돼 재판 전 구류 처분된 것으로 알려졌다. 캄보디아 정부는 정부를 전복시키려는 등 선동·쿠데타를 음모한 혐의로 이들을 기소했다.
삼랭시와 CNRP는 한때 45%에 달하는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며 집권당(캄보디아인민당·CPP)을 바짝 추격했다. 그러나 총선을 앞둔 2017년 11월 캄보디아 대법원은 CNRP를 반역죄로 강제 해산했다. 이후 삼랭시 전 대표 등 일부 지도자들은 해외로 망명해 국내외 지지자들과 연계해 반(反) 훈센 투쟁을 벌이고 있다.
삼랭시 전 대표는 캄보디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회복을 위해 캄보디아의 독립기념일이자 베를린 장벽 붕괴 기념일인 11월 9일에 귀국하겠다고 공언했다. 이후 그는 시민과 캄보디아 군대에 훈센 정권 타도를 부르짖었다. 캄보디아 정부는 삼랭시와 CNRP 지지자들을 쿠데타로 정부 전복을 꾀하는 반란 세력으로 규정하고 즉각 단속을 시작했다.
파이 시판 캄보디아 정부 대변인은 “삼랭시는 군대에 (국민에 의해) ‘선출된 정부’에 총구를 돌릴 것을 명령했다”며 “모든 사람들이 정부에 맞설 것을 호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 쏙 후아 CNRP 부대표는 이에대해 “CNRP 지도자들의 귀환을 무장 쿠데타를 일으키려는 의도로 받아들이는 것을 강력 부인한다”며 “우리가 군인들에게 요구한 것은 무기를 내려놓고 민간으로 돌아가라는 것”이었다고 반박했다.
캄보디아 전문가들과 시민단체 활동가들 역시 야당의 무장 반란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활동가는 본보에 “캄보디아 군대·경찰은 훈센 총리가 완벽히 장악하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 무장 반란은 불가능하고, 설령 봉기한다 하더라도 압도적인 전력 차이때문에 금방 진압될 것”이라고 전했다. 삼랭시 전 대표의 캄보디아 행 좌초 가능성도 제기된다.
삼랭시 전 대표를 포함한 야당 지도자들이 귀국할 경우 바로 구금될 가능성이 높게 거론되고 있다. 이에따라 야당을 지지하는 시민들의 불만이 캄보디아 정치의 또다른 균열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