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기업 내 유리천장 해소를 위한 임원의 성별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이오(CEO)스코어에 의뢰해 올해 1분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상장법인 전체(2072개)의임원 현황과 산업별 성별 임원 현황, 여성 임원이 있는 기업(665개)의 전무 이상 임원(3408명) 성별 직위·직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
상세 조사 결과를 보면 2019년 1분기 기준 상장법인 전체 임원 수는 2만9794명이고 그 중 여성 임원은 1199명으로 4.0%로 나타났다. 또 2072개 기업 중 여성 임원이 1명 이상 있는 기업의 수는 665개로 32.1%에 불과했다. 이사회 의결권을 갖는 등기임원은 1만2370명으로 41.5%이고, 미등기임원은 1만7424명으로 58.5%였다. 여기사도 여성 비율은 각각 4.0%로 나타났다.
등기임원 중 사내이사는 8389명으로 67.8%, 사외이사는 3981명으로 32.2%이고 사내이사 중 여성 비율은 4.4%이다. 특히 사외 이사 중 여성 비율은 3.1%로 기업의 외부 여성 전문가 활용 또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의 직위를 살펴보면, 전무 이상 임원 중 여성은 264명으로 3.5%이며, 상무이사 중 여성은 536명으로 4.1%를 차지했다.
|
공공부문에서는 여성의 고위직 진출이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공공부문인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은 여성 사외이사 비율이 13.2%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공기관 여성 임원 1명 이상 선임 추진 등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정책을 국정과제로 추진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여성 임원이 있는 기업(665개)을 대상으로 전무 이상 성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무 이상 여성이 7.7%로 나타났다. 전무 이상 임원의 직위를 살펴보면 남녀 간 격차가 있는데, 부회장은 여성이 11.7%로 남성(4.5%) 보다 7.2%p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부회장의 임원 임명 경로를 별도 조사한 결과, 여성 부회장 중 소유주 (오너) 일가가 83.9% 이상, 남성 부회장 중 소유주(오너) 일가가 37.1% 이상인 것으로 확인돼 일반적인 승진·임명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 결과 발표를 계기로, ‘성별균형 포용성장 파트너십(동반관계)’ 참여 10개 경제단체와 함께 ‘의사결정 영역에서의 성별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조성 방안’ 토론회를 17일 서울 명동 소재 은행회관에서 개최한다.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여성의 사회 진출은 활발해졌으나 민간부문의 실질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성별 균형이 부족할 뿐 아니라, 많은 여성인재들이 외부 전문가로도 활용되지 못하는 현실을 확인하게 됐다”면서 “기업의 성별다양성 확보는 다양한 구성원을 통해 의사결정의 질을 높여 국가와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져오기 때문에 기업 내 성별 다양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