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올해 3월 상반기 삼성전자 갤럭시S20, LG전자 V60 씽큐를 시작으로 5G를 지원하는 모델이 10종 이상 출시된다.
작년에는 삼성전자·LG전자 플래그십 모델을 중심으로 총 6종의 5G 모델이 출시됐는데, 올해는 5G가 중저가폰으로 확대되면서 2배가량 증가한 것이다.
우선 작년과 마찬가지로 상·하반기 삼성전자·LG전자 플래그십 모델 각 2종(총 4종)과 하반기 출시될 갤럭시 폴드의 후속작인 폴더블폰이 5G로 출시된다. 상반기 출시되는 클램셸(조개껍질) 디자인의 ‘갤럭시Z플립(가칭)’은 LTE 전용 모델이다.
삼성전자는 작년 갤럭시A90에서 첫 5G 중저가폰을 선보였는데, 올해는 이보다 저렴한 라인에도 공격적으로 5G를 확대할 전망이다.
우선 거론되는 모델은 올해 2분기 국내 출시를 목표로 조율 중인 갤럭시A51과 갤럭시A71이다. 이들 모델은 작년 12월 베트남에서 첫 발표된 중가폰으로 후면 직사각형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A71 5G 모델이 나오는 것은 확정적이고 더 저렴한 갤럭시A51도 5G로 나올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아직 발표되지 않은 갤럭시A81이나 갤럭시A91 등 갤럭시A 시리즈 고급 모델에도 5G가 적용돼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5G 중저가폰을 출시하지 않았던 LG전자는 올해 상반기 플래그십폰과 하반기 플래그십폰 사이 5G를 지원하는 파생형 모델을 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11월 국내 출시될 아이폰12 시리즈도 애플 제품으로는 처음으로 5G를 지원할 예정이다. 애플 수요층에 힘입어 5G 확산 속도 역시 크게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단말이 많아지고 5G 확산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5G 단말 도입 속도가 빨라지면 5G 중저가 요금제 논의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