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502명을 대상으로 ‘저녁 있는 삶’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저녁이 있는 삶을 살고 있다’고 답한 직장인 비율은 65.5%였다.
이는 2017년 조사 결과였던 50.6%보다 14.9p% 높아진 수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 이상’(71.5%)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는 70.5%, 30대는 64.4%, 40대는 57.5%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67.9%로 남성(63.4%)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확보된 저녁 시간을 휴식(24.4%)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날을 위해 재충전의 시간을 갖는다는 취지다.
이어 헬스 등 운동은 15.8%, 집안일 또는 육아는 14.1%, TV 시청은 11.8%, 가족과 함께 시간 보내기는 10.3% 등으로 각각 조사됐다.
이들 중 81.5%는 현재의 저녁 있는 삶에 만족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52시간제 도입에도 저녁 있는 삶을 누리지 못하는 직장인들(518명)도 있었다. 이들은 일이 많아서(52.5%, 복수응답)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출퇴근 시간이 오래 걸려서’(28%), ‘퇴근 후에도 업무 요청이 있어서’(21%), ‘육아, 집안일 등을 해야 해서’(16%), ‘업무 관련 공부를 해야 해서’(10.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야근 횟수를 살펴보면 저녁 있는 삶을 누리는 직장인(984명)의 경우 절반 이상(55.7%)이 ‘야근이 없다’고 답했고, 야근하는 경우도 일주일에 평균 1.8회에 불과했다.
반면 저녁 있는 삶을 누리지 못하는 직장인들은 일주일에 평균 3회 야근을 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8%)이 높은 연봉과 저녁 있는 삶 중에서 ‘저녁 있는 삶’을 선택했던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