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문 대통령은 “핵심은 일자리를 지켜내는 것”이라며 일자리 정책을 중심으로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 충격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보훈처 주최로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열린 6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이 4·19 혁명 기념식을 찾은 것은 취임 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4·19 혁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굳건한 뿌리”라며 “주권재민을 훼손한 권력을 심판하고 정치·사회적 억압을 무너뜨린 혁명이었다”고 평가했다.
또 문 대통령은 “지금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을 헤쳐 가는 힘은 4·19정신에 기반한 자율적 시민의식에서 비롯됐다”며 “우리가 억압 속에서 지켜낸 민주주의, 눈물 속에서 키워온 연대와 협력이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4·19혁명 정신을 인류에게 남기기 위해 4·19혁명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추진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바이러스뿐 아니라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 상황을 함께 이겨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사합의 통해 고용 유지 기업 우선적 지원”
문 대통령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성장률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며 “그러나 국민의 삶이 무너진다면 성장률 1위가 된다 해도 결코 위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일자리 지키기에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문 대통령은 “정부는 노사합의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위해서도 고용 안전망과 사회 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거듭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1960년 3월 경남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구속됐던 박주복(81) 선생 등 4·19혁명 유공자 5명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기념식 후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4·19혁명 희생자인 고(故) 전한승·진영숙 열사의 묘를 참배했다.
문 대통령은 4·19 혁명 당시 서울 수송초교 6학년이었던 전 열사와 한성여중 2학년이었던 진 열사에 안타까움을 표하며 헌화·묵념하고 희생자의 넋을 기렸다.
이날 기념식에는 보훈단체 대표들을 비롯해 문희상 국회의장, 김명수 대법원장,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재철 미래한국당 대표 대행, 심상정 정의당 대표, 국무위원 등 총 2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