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외교 소식통의 1일 전언에 따르면 현재 유족들과 민주 인사들의 진상 규명 요구 움직임 외에는 사태와 관련한 특별 조짐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회원 대부분이 당시 20대 전후의 자녀들을 잃은 80대 전후의 고령인 ‘톈안먼 어머니회’를 주축으로 한 행보는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고도 활발하다고 한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 책임론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강행 탓에 중국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는 현실까지 감안할 때분위기는 일촉즉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 내외에서 톈안먼 사태에 대한 진상 규명 요구가 빗발친다면 전혀 의외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베이징의 변호사 반(班) 모씨는 “올해는 서방 세계가 그 어느 때보다 톈안먼 사태를 화제로 몰고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경우 대중 비판 분위기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고조될 수 있다”면서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음을 우려했다.
|
이에 중국 당국은 일련의 사태에 대비해 관련 대책을 숙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 내부적으로는 공안과 국가안전부에 비밀 통문을 하달,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홍콩의 시위가 감내못할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될 경우 군대까지 동원하는 원칙까지 세웠다는 것이 베이징 소식통의 전언이다. 해외 반중 중국어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미 광둥(廣東)성 선전과 홍콩의 경계 지점인 뤄후(羅湖)에 일부 병력이 집결해 있다는 후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