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한국지엠지부는 상급 노조인 전국금속노동조합의 지침을 반영해 각각 기본급 12만304원(호봉상승분 제외) 인상 등 내용을 포함한 요구안을 확정짓고 사측에 전달했다. 이 밖에도 기아차는 지난해 영업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쌍용차 노조가 일찌감치 올해 임단협을 마무리 지은 것과 달리, 한국지엠 노조는 기본급 12만304원 인상과 통상임금의 400% 성과금에 600만원 지급을, 르노삼성 노조의 경우 기본급 7만1687원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모두 다음주부터 노사간 상련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하투(夏鬪)’에 돌입할 예정이다. 특히 한국지엠과 르노삼성 노조는 2년간 두번의 임단협에서 오랜 분쟁에도 불구하고 기본급을 동결하면서 올해 임단협 타결이 더욱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개소세 인하와 신차 효과 등으로 코로나19 여파에도 내수 판매는 그나마 유지해 왔지만, 수출 판매가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한국지엠 등 임원들이 급여 반납을 이어오며 위기경영을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업계 큰 형님 격인 현대차 노조가 실리 성향으로 변화 의지를 수 차례 나타내 온 만큼, 실제로 현대차가 본 협상에서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면 다른 노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가 내부 계파 뿐만 아니라, 상급 노조인 금속노조의 눈치도 봐야 하는 상황에서 임단협을 마음대로 진행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 “다만 노조위원장의 변화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기대도 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 역시 미래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이 인력감축과 공장폐쇄 등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완성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 인상보다는 고용 안정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국내 다른 업종만 봐도 임금 동결뿐 아니라 인력 감축 등 얘기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면서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함께 극복하는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