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폭발참사 책임 레바논 내각 총사퇴...레바논, 경제붕괴·부패 고질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811010005263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0. 08. 11. 04:50

레바논 총리 "참사 책임 요구, 변화 갈망 국민 뜻 따라 총사퇴"
경제붕괴·부패·낭비 등 위기 장기화 속 폭발참사로 7개월만에 내각 붕괴
신내각, 통화가치 70% 하락, 국민 50% 빈곤층 고질 문제 해결 의문
Lebanon
레바논 내각이 10일(현지시간) 총사퇴를 발표했다. 사진은 하산 디아브 레바논 총리가 지난 3월 7일 베이루트 정부 청사에서 연설을 하는 모습./사진=레바논 정부 제공 AP=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레바논 내각이 10일(현지시간) 총사퇴를 발표했다.

지난 4일 수도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폭발 참사로 163명이 사망하고 6000여명이 부상을 입은 데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시위에 따른 것이다.

하산 디아브 레바논 총리는 이날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대국민 연설에서 재해 책임자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고, 진정한 변화를 원하는 국민의 뜻에 따라 총사퇴한다고 밝혔다. 다만 디아브 총리는 새로운 내각이 출범할 때까지 임시 내각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아브 내각은 1월 이슬람 시아파 정파 헤즈볼라의 지지를 얻어 출범했다. 그러나 정치 개혁과 경제 회복 등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상황에서 폭발 참사가 발생해 7개월 만에 좌초했다.

많은 일반 레바논 국민에게 이번 폭발 참사는 경제 붕괴·부패·낭비·고장 난 통치로 인한 장기화한 위기 상황에서 마지막 지푸라기였다며 참사 이후 그들은 거리로 나가서 철저한 변화를 요구했다고 로이터통신은 평가했다.

APTOPIX Lebanon Explosion
레바논 시민들이 10일(현지시간) 베이루트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베이루트 AP=연합뉴스
레바논은 명목상 대통령제(임기 6년의 단임제)이지만 총리가 실권을 쥐는 내각제에 가깝다.

18개 종파 간 세력 균형을 위해 대통령은 기독교 마론파, 총리는 이슬람교 수니파, 국회의장은 이슬람교 시아파 출신이 각각 맡는 독특한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내각이 출범해도 고질적인 경제 문제 등을 해결할지는 미지수다. 레바논 통화 가치는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지난해 10월 이후 약 70% 하락했다. 세계은행(WB)은 올해 레바논 국민의 50% 이상이 빈곤층이 될 것이라고 예측할 정도로 빈곤이 급증하고 있다.

4일 베이루트 항구 창고에 7년 전부터 보관된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 약 2750t이 폭발한 참사가 발생한 이후 7일부터 도심에서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전날까지 벌어졌다.

8일 대규모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 과정에서 경찰 1명이 숨지고 시위 참가자 및 경찰 230여명이 다쳤고, 이에 장관 4명이 잇달아 사임 의사를 밝혔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