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8일 제6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8·4 공급대책 이후 1개월이 지난 현재, 나름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몇몇 아파트를 예로 들었다. 서초구 반포자이 84.94㎡가 7월 초 28억5000만원에서 8월 중 24억4000만원으로 4억원이 내렸다고 했다. 다른 예도 들었다. 얼핏 들으면 아파트 가격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들린다.
이를 두고 정부가 원하는 통계만 보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신고가 아파트가 있는데 떨어진 아파트를 언급하기 때문이다. 부동산에 따르면 8월 반포 자이 85㎡가 28억원에 거래됐는데 전달보다 6000만원이 올랐다고 한다. 또 홍 부총리가 예로 든 아파트는 급매물로 알려졌다. 정부가 아파트 가격 등락을 모두 점검하기는 어렵지만 균형 있게 봐야 한다.
국토부는 하남 교산 등 수도권 신도시 아파트 6만 가구에 대한 사전청약을 내년 7월에 한다. 신혼부부, 생애 최초 내 집 마련자 등에게 우선권을 주고 분양가도 시세보다 30% 저렴해 20~30대의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입주까지 3~4년이 걸리는데 사전청약을 해서라도 집값을 안정시키고 싶은 게 정부의 생각일 것이다. 차제에 전세 품귀 문제도 함께 살펴야 한다.
서울 집값은 당국자의 말 한마디, 언론 보도에 영향을 받는다. 변수도 많다. 홍 부총리나 김 장관의 말은 서울 집값을 안정시키고 싶은 충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집값 얘기는 전반적인 추세·흐름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특정 지역이나 특정 아파트를 예로 들면 시장과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이 시점에서 상승세가 멈췄다고 단언하기에는 성급한 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