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성공경험 국제사회와 공유…위기 기회로 만들려면 과감한 변혁 필요"
|
정 총리는 이날 제75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온라인으로 열린 ‘코로나19 시대의 개발재원을 위한 정상회의’에 참석해 “‘위기는 기회와 함께 온다’라는 말이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정 총리는 “한국 정부 역시 그 길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지난 7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으로 한국판 뉴딜을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우리의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5G(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AI(인공지능)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통해 비대면·디지털 경제 가속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 총리는 “탄소 중립을 지향점으로 두고 그린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 친환경·저탄소 경제 전환을 촉진하고, 노동·고용 안정망을 강화해 경제적 포용성을 강화하는 노력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 총리는 “한국판 뉴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의 재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정 총리는 “‘상생’과 ‘화합’의 정신으로, 인간 세상과 바이러스 세상 사이에 단단한 벽을 세워야 한다”며 “한국은 코로나19 피해를 먼저 경험했던 국가로서 K방역 성공의 경험과 노하우를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공유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정 총리는 “주요 개발재원인 ODA(공적개발원조) 규모가 확대되도록 노력할 것이며 인도적 지원 및 방역 ODA를 확대해 개발도상국의 코로나19 대응노력을 지원하겠다”며 “디지털과 그린 ODA를 통해 개도국의 SDGs(지속가능 개발 목표) 이행이 가속화되도록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뿐만아니라 정 총리는 “한국 정부는 파리협정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국가결정기여(NDC)를 갱신하여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2021년 P4G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그간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성과를 국제사회와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한국은 G20·파리클럽의 채무상환유예조치(DSSI)에 참여 중”이라며 “이 조치의 연장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인간이 바이러스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정보 공유와 연결의 힘’”이라며 “저는 이것을 ‘전지구적 사회 자본(Global Social Capital)’ 이라고 명명하고 싶다”고 역설했다.
이어 정 총리는 “전 세계가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회복(recover better)’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하겠다”고 거듭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