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역시 캐나다 못지 않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이 최근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위구르족에 대한 고문과 강제 노동, 낙태 등이 대규모로 자행된다고 비판하면서 중국이 올림픽을 개최해서는 안된다는 뉘앙스의 주장을 펼친 바 있다. 가장 먼저 중국의 인권 문제를 거론한 미국이라고 별다를 까닭이 없다. 새로 취임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중국의 신장 정책이 ‘학살에 해당한다’는 트럼프 전 정권의 입장에 동조하는 의사를 밝힌 사실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당연히 중국 입장에서는 반격을 가할 수밖에 없다. 정부 당국과 주요 매체들이 반중 정서가 강한 일부 서방 국가들이 올림픽을 정치화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나서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왕원빈(汪文斌) 외교부 대변인이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캐나다 의회의 결의안을 비판하면서 엄중 교섭을 제기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이런 자세를 잘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환추스바오(環球時報)와 영자지 글로벌 타임스가 24일 논평을 통해 “서방 국가의 일부 반중 정치인들이 올림픽을 방해하기 위해 신장 인권 문제를 이슈화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루머를 퍼뜨리면서 관련 사안을 과장하고 있다”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분위기로 볼 때 베이징올림픽이 진짜 취소될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 하지만 미국을 필두로 서방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중국의 인권문제를 제기하면서 시비를 걸 경우 상황은 반전될 수도 있다. 일부 국가들은 진짜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중국이 큰소리를 치면서도 속으로는 애가 타지 않겠느냐는 분석은 이로 보면 너무 당연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