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 총재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의 “큰 폭의 경제 수정이 없다면 금리 정상화가 1~2회 진행될 수 있느냐”는 질의에 대해 “기준금리 인상은 늦어서도 안 되지만 서둘러서도 안 된다”며 금리 인상 시점을 신중히 결정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연내 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등 금융 불균형 문제를 거론하며 재차 강조했다. 이 총재는 “경제주체들의 수익 추구 행위, 레버리지(차입을 이용한 투자)가 과도하게 진전된다면 언젠가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컨트롤(조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많은 사람이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오래 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조정을 위해) 금리와 거시 건전성 정책 등이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에도 이 총재는 “코로나가 재확산하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 물가 오름세 확대,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다음(8월) 금통위 회의부터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적절한지 아닌지를 논의하고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또 정부의 재난지원금 선별지원 주장에 힘을 싣는 발언도 했다. 그는 “재정 재원은 기본적으로 한정된 것이고,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은 계층과 피해가 적거나 오히려 부를 더 쌓은 계층이 공존하는 상황을 고려해야한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얼마나 많은 재원이 추가로 소요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재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피해를 입은 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