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연은 이날 “매출 실종 사태에 처한 소상공인 문제를 최우선 국정 과제로 삼아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고용원을 줄이고 빚으로 빚을 내 겨우 연명하는 처지에 거듭되는 영업제한 지속으로 소상공인들은 한계로 내몰리고 있다. 당면한 추경안에서 소상공인 피해 지원금과 손실보상금액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정책자금 규모도 크게 늘려 소상공인들에 대한 긴급 피해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손실보상법 공포 이후인 7월 7일 이후의 손실분에 대해서는 소상공인들의 입은 손실만큼 실질적 보상 △피해 지원금은 지급 기준에 있어 매출 비교 부분을 유연하게 적용해 2020~2021년 피해를 입은 모든 소상공인들에게 최대한 지원 적용 △정책자금 대상자와 대상금액 대폭 확대 등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거리두기 단계를 논의하는 생활방역위원회에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소공연이 빠져 있다. 소공연의 참여를 보장해야 마땅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