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11월 중순부터 점진적인 테이퍼링 과정에 돌입할 것임을 시사했다고 미국경제방송 CNBC·로이터통신 등이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연준의 이 같은 의지는 이날 공개된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드러난다. 의사록에는 “광범위한 경제 회복이 지속된다면 점진적인 테이퍼링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는 FOMC 위원들의 평가가 담겼다.
관건은 시점이다. 위원들은 “다음 회의(11월 FOMC)에서 테이퍼링 결정이 내려진다면 절차는 11월 중순 또는 12월 중순에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회의록이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계획을 11월 초 발표할 수 있다는 신호를 줬다”고 풀이했다.
연준이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일종의 출구전략인 테이퍼링은 통상 금리인상과 궤를 같이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실제 연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의한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매달 1200억달러(약 142조7280억원) 상당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해 시장에 돈을 풀고 있다. CNBC는 “연준이 빠르면 11월 중순부터 월별 자산 매입 속도를 줄여나갈 수 있다”며 “과정은 매달 미 국채 100억달러와 주택저당증권 50억달러씩을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심에는 인플레이션이 자리한다. 관계자들은 “인플레이션이 현재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포트 피트 캐피털 그룹의 카터 핸더슨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연준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그들이 희망하는 시점보다 빨리 금리를 올리도록 강요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FOMC 위원들은 “테이퍼링이 기준금리에 대한 직접적인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일단 선을 그었지만 9월 FOMC 점도표를 보면 위원 18명 중 9명은 내년 첫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준은 평균 물가상승률이 일정 기간 목표치인 2%를 초과하고 최대 고용을 달성한다면 제로 수준인 현 기준금리를 상향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4%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7월(5.5%) 이후 13년 2개월만 최고치이자 최근 5개월 연속 5%대 상승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