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환경부에 따르면 정부는 위드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탄소중립 실현의 의지를 전세계에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한국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상향해 2018년 대비 40%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국제사회에 공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2050 탄소중립을 법제화하고 탄소중립 시나리오도 발표했다”며 한국의 탄소중립 이행도 강조했다.
위드코로나를 앞두고 이러한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에 대해 해외 주요국들 역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COP26 한국 홍보관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한국의 NDC와 관련한 반응을 묻는 질문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거는 기대를 벗어나서 세계가 가지는 기대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하며 적절히 보여준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NDC 40% 이행을 위해 우선 무공해차 확산 가속화에 힘쓴다. 탄소중립을 위해 전기·수소차 전환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2025년까지 무공해차 133만대 보급을 목표로 내년엔 수소차의 경우 2만8000대, 전기차 20만7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무공해차 보급에 발맞춰 충전 인프라도 크게 늘린다. 수소충전소는 내년까지 100개소, 전기 충전기는 내년까지 초급속 900기, 급속 300기, 완속 3만7000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한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사업에 8927억원, 전기자동차 보급·충전 인프라 구축에 1조9352억원을 투입한다.
탄소중립을 위해 산업부문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의 83%가량을 차지하는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서 새롭게 지원책을 마련했다. 코로나19로 어려운 기업 상황을 고려해 지원 대상은 늘리고, 중소기업의 경우 보조율을 70%까지 높인다.
또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기업에서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며 녹색금융 활성화에도 집중한다. 탄소중립의 신기술·신산업 창출과 기업의 녹색활동 촉진을 목표로 녹색금융을 확대하고 ESG 컨설팅을 강화해 기업의 ESG 경영을 돕겠다는 것이다.
기업의 신규 녹색채권 발행을 유도하기 위해 외부기관 인증 비용도 지원한다. 녹색금융 상품을 출시하는 금융기관에 대한 이차보전도 새롭게 추진하기 위해 143억원을 투입한다. 중소·중견기업의 ESG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친환경 기업 전환을 위한 통합 컨설팅 사업에도 지원을 늘린다.
아울러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에 늘어난 쓰레기가 사회문제가 되며, 폐기물 처리와 순환경제 전환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폐기물 감량과 재활용 확대를 위한 폐기물 다량 배출사업장 성과관리 이행지원 사업을 확대한다. 일회용품을 많이 사용하는 영화관·장례식장 등 다중이용시설에 다회용기 회수-세척-재사용 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재활용품 비축 시설을 내년 8개소로 확충하고 생활자원 회수센터도 39개소로 늘린다. 이처럼 재활용 가능 자원 선별 인프라를 늘려 잔재물을 최소화한 고품질 재활용을 촉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