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지 76곳 중 본지구 지정 8곳에 그쳐
전문가 “추진 의지 강한 곳 속도 높여야”
|
9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로 지정된 곳은 총 76곳이다. 이 가운데 주민(토지 등 소유자)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 본지구로 지정된 곳은 서울 증산4구역·신길2구역·방학역 등 8곳에 그친다. 본지구 전 단계인 예정지구까지 간 곳도 지난 1월 인천 굴포천역 인근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은 채 멈춰 있는 상태다.
도심복합사업은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2·4 대책을 통해 발표한 핵심 주택 공급 모델이다. 낮은 사업성과 복잡한 주민 이해관계 등으로 인해 정비사업 추진이 어려운 노후 주거지역을 공공 주도로 고밀개발해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기 위해 도입됐다. 도심 내 역세권, 준공업지역, 저층 주거지 등이 사업 대상지로, 정부는 사업 시행 시 민간 재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사업 절차,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세제 혜택 등을 부여키로 했다.
|
주민 입장에서는 매수자가 없어 사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주택을 처분하고 떠날 기회를 잃게 됐다. 일부 주민들은 이를 '재산권 침해'라고 반발하며 단체행동에 나서기도 했다.
여기에 새 정부가 도심복합사업에 대해 일부 조정 가능성을 내비치자 일단 상황을 지켜보자는 분위기까지 더해졌다.
업계는 사업이 흐지부지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추진하기 보다는 이미 본지구로 지정된 곳을 중심으로 제대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민들의 사업 추진 의사가 강한 곳에서는 사업 속도를 높이고, 반대가 거센 곳에서는 후보지 지정을 철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사업의 내실을 다지면서 주민 간 갈등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토부도 주민들의 호응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사업을 승계할 것이라며 향후 현실적인 사업 진행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