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 과다 기업 조기 정상화 기여
|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구조조정 기업을 관리하고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협력 기업'을 선정하기로 했다.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 프로그램 약정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 매출처, 시장 점유율, 소송 계류 현황, 자구 계획 등을 살펴본 뒤 신용도를 평가해 부동산 매각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매출·입 현황과 1년 내 노사분규 횟수, 근로자 사기 및 경영진에 대한 인식 등 정량·정성 평가가 모두 진행될 예정이다. 구조조정 기업 실태 조사 및 부동산 매각 사업은 이르면 오는 10월 초부터 실시되며 3년간 연간 5억원, 총 15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각 기업에 대한 맞춤형 구조조정을 추진해 부동산 매각을 희망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부동산 조사·분석을 지원한다"며 "기업은행은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의 매각 가능성을 극대화해 채무 과다 상태에 놓인 구조조정 기업의 조기 정상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기업은행의 건전성 관리 측면과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다. 정부의 상생금융 주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늘렸지만 경기 부진으로 연체율 상승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정책금융 자금 지원의 선봉장을 맡고 있는 기업은행은 특성상 신용도가 낮은 기업 차주에게도 자금을 공급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우량 차주 및 대기업과의 거래가 많은 시중은행과 놓인 환경이 다르다는 평가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219조5908억원에서 올해 1분기 225조2389억원으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원화대출금 및 신탁대출금 합계 기준)은 0.34%에서 0.48%로 0.14%포인트 뛰었다.
이와 관련해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지난 4월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기업이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근로자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인력 관리에 상당히 애로를 겪고 있다"며 "건전성 관리는 핵심적인 부분인 만큼 입체적인 관리·조치를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