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내 수감 미국인 5명, 교도소 나와 호텔·자택연금
한국 내 동결 이란 자산 60억달러, 카타르은행으로 송금
이란, 인도적 목적 이 자금 사용 가능
|
이란이 자국 교도소에 수감된 미국인 5명을 최종 석방하는 대가로 미국이 한국 내 이란 자금에 대한 동결 제재를 해제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10일(현지시간)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이란에 부당하게 구금된 미국인 5명이 석방돼 가택연금에 들어간 것으로 이란 정부가 확인했다"고 말했다.
가택연금으로 전환된 미국인은 시아마크 나마지·에마드 샤르기·모라드 타바즈와 이름을 밝히지 않은 과학자와 사업가 각각 1명 등 총 5명으로 스파이 혐의 등으로 테헤란 에빈교도소에 수감돼 있었다. 에빈교도소는 가장 악명 높은 구금 시설 중 하나라고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
이란 국영 통신인 IRNA는 이란 유엔대표부를 인용해 이란 내 미국인 수감자 5명과 미국 내 이란인 수감자 5명이 맞교환된다고 보도했다고 NYT는 전했다.
알리 바게리카니 이란 외무부 차관 겸 핵 협상 수석대표는 미국과 이란이 미국인 수감자 석방과 이란의 수십억 달러 자산에 대한 동결 해제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NYT는 미국이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산 약 60억달러를 카타르중앙은행 계좌로 송금할 것이라며 이 계좌는 카타르 정부에 의해 통제돼 이란이 의약품 및 식량과 같은 인도주의적 구매를 위해 공급업체에 지불하는 용도로만 이 자금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규제된다고 이 협상에 정통한 인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인들은 카타르운행 계좌에 돈이 도착하면 이란을 떠날 수 있는데 이는 이란으로 거액을 이체하는 데 필요한 허가 및 제재 면제 서류 작업이 4~6주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분쟁전문 싱크탱크인 국제위기그룹(ICG)의 알리 바에즈 이란 국장이 설명했다.
카타르 정부는 이번 협상 타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억류 미국인들은 일단 카타르 수도인 도하로 이송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에즈 국장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