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은 김의태<사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이 한국·영국에서 모집한 27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공동 연구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정신과학 저널 '란셋 정신과학(Lancet Psychiatry)' 최신호에 공개됐다.
교수팀은 성장기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TSD)'가 성인기 정신질환과의 연결 고리가 될 것이라고 판단, 복합 PTSD와 일반적인 PTSD를 구분해 정신질환의 양상을 분석하는 한국·영국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복합 PTSD는 단발적인 사고나 충격으로 나타나는 일반 PTSD와 달리 성장기에 겪는 지속적인 트라우마가 원인이다. PTSD 증상에 더해 감정 조절의 어려움, 정체성 혼란, 관계 유지의 어려움 등의 3가지 특성이 있다.
연구 결과 일반적인 PTSD 환자는 PTSD가 없는 그룹에 비해 정신 질환의 중증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은 반면, 복합 PTSD 환자에서는 비교군 대비 정신 질환의 중증도가 크게 증가했다. 또 복합 PTSD 환자에서만 보이는 감정·정체성·관계 유지 등 3가지 특성 모두 정신 질환의 중증도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질환의 발현에 있어 특정한 사고나 충격보다는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인 학대와 이에 따른 후유증의 영향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교수팀은 설명했다.
김 교수는 "연구 결과에 따라 '성장기 트라우마'가 있는 환자들을 체계적으로 치료·관리할 수 있는 공중보건 시스템을 마련한다면 조현병 등 정신질환 발병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복합 PTSD와의 연관성도 확인한 만큼 정확한 치료 지침을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성장기에 지속적으로 신체적·정신적·성적으로 피해를 받으며 형성된 성장기 트라우마는 성인 이후 각종 정신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추정돼 왔지만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 문화권마다 사회 환경도 달라 결론을 도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국내 의료진의 주도로 문화권이 다른 한국과 영국에서 성장기 트라우마와 정신증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병원 측은 강조했다. 두 국가의 대규모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이뤄진 만큼 이젠 학계에서도 학설을 넘어 정론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으로 병원 측은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