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의원은 "국보였던 촉석루가 6·25 전쟁 당시 전소되기는 했지만 전후 어려운 시기 기적적으로 복원했고 재건 한지도 63년이 지났으므로 이제는 국가지정문화재(보물·국보)로 환원돼야 한다"며 "조선시대 3대 누각 중 경남에 2곳이 있고 이 중 보물인 영남루가 국보 승격을 앞두고 있으므로 촉석루가 국가지정문화재로 환원되면, 경남이 우리나라 양대 누각을 보유하게 돼 엄청난 관광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소실 후 재건 사례로 보자면 서울 남대문(숭례문)은 2008년 화재로 목조 99%가 소실돼 2013년 재건됐지만 국보는 그대로 유지됐다"라며 "역사성과 상징성으로 볼 때도 촉석루는 논개, 김시민 장군, 진주대첩 등으로 대한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아는 호국성지인 진주성의 중심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촉석루가 문화재 중 가장 등급이 낮은 도 문화재 자료였다가 2020년에 와서야 도 유형문화재가 된 데 대해 진주시민을 비롯한 경남도민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영남루의 국보 승격 예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진주 향토사학자를 중심으로 촉석루의 보물 승격과 명승지 지정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이 진행되고 있어 곧 진주시 향토문화유산위원회를 통해 경남도와 문화재청으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이 신청될 예정이므로 내년 1월 경남도의회 차원에서 촉석루의 국가지정문화재 환원 촉구 대정부 건의안을 발의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의원의 건의안은 내년 1월 25일 개회되는 제410회 임시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경남도는 2014년 촉석루와 영남루 등 9건을 국가지정문화재로 신청했으나 불발됐다. 2016년에 진행된 심사에서 촉석루는 재현으로 인한 역사적 가치가 훼손됐다는 이유로 보물로 지정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