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생성형 AI는 LG디스플레이에 특화된 지식을 학습해 최적화된 결과물을 도출한다. 예컨대 "A 제품의 품질 강화 방법을 알려줘"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이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즉각 답변해 주는 형식이다.
이에 따라 생성형 AI를 활용한 임직원들은 업무 전문 지식이 필요할 때 담당자에게 문의하거나 과거 자료를 찾아보지 않고도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생성형 AI의 핵심이 되는 대형언어모델(LLM)을 사내에 구축해 기술의 외부 유출을 원천 차단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생성형 AI 개발을 위해 LG AI연구원, LG CNS와 협업했다. 학습과 분석을 위한 LLM으로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인 '엑사원'(EXAONE)을 활용한다.
사용자의 특정 질문에 맞춰 사내문서 30만여건에서 답변을 찾아내는 역할은 LG CNS가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 '키룩'(KeyLook)이 담당한다.
LG디스플레이는 임직원들의 사용 내역을 지속 학습시켜 올해 하반기에 더욱 고도화된 생성형 AI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 검색 영역도 품질과 더불어 특허, 안전, 장비, 구매 등 다른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병승 LG디스플레이 DX그룹장(상무)은 "독자적인 생성형 AI 도입으로 정보의 외부 유출은 원천 차단하고 임직원 개개인의 업무 역량은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업무혁신을 가속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