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대표는 이날 오후 여의도 중앙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현안에 "더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이 같이 답했다.
한 대표는 또 윤 대통령의 고유 권한에 존중의 의미로 해석하면 되냐는 질문에는 "그동안 말씀 드린대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이미 전날 한 대표는 서울 여의도 중식당에서 4선 중진 의원 오찬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김 전 지사의 복권 문제를 두고 "이미 충분히 전달됐다"는 입장을 재차 밝힌 바 있다. 한 대표는 지난주 측근을 통해 반대입장을 피력하기도 했다.
당시 오찬에는 김도읍·김상훈·윤영석·이종배·한기호 의원이 자리했다. 이 중 몇몇 참석자는 김 전 지사 복권 여부를 놓고 강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여당 의원이 한 대표 주장에 힘을 실었다고 볼 수 있다.
같은날 오전 윤 대통령은 김 전 지사와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자 명단을 재가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다섯 번째 특사다.
정부는 "우리 사회의 통합과 화합의 기회를 마련하고 경제성장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새로운 도약의 미래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며 배경을 전했다.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자에는 김 지사와 조 전 수석 외에도 현기환 전 정무수석,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수석,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이 포함됐다.
앞서 김 전 지사는 2021년 7월 포털사이트 여론을 조작한 '드루킹 사건'으로 기소돼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이 확정됐다. 공직선거법상 금고 이상의 형 선고를 받고 그 형이 실효되지 않은 사람은 피선거권이 없다. '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은 3년 이하 징역·금고에 대한 형 실효기간을 형 집행 종료나 면제 이후 5년으로 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