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출산친화 도시 만든다”…용산구,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첫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1010011494

글자크기

닫기

박아람 기자

승인 : 2025. 03. 21. 15:06

설립 및 운영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용역서 설립 타당성, 최적 위치 등 구체화
박희영 용산구청장(오른쪽)이 용산구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및 운영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에서 위원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오른쪽)이 20일 구청에서 진행된 '용산구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및 운영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에서 위원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용산구
서울 용산구가 저출산 문제 해결과 출산 친화적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구는 산모와 신생아 건강을 위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 본격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와 관련 구는 지난 20일 구청 정책회의실에서 '용산구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및 운영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5개월간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의 타당성 분석 △최적의 설립 위치 선정 △운영방안 기본계획 구체화 등을 중점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박 구청장은 "그동안의 현금 지원 방식은 민간 산후조리원 이용료 상승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었다는 분석이 있다"며 "현금성 지원 외 산모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고자 공공산후조리원 도입을 구상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구는 지난해 11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전담조직인 '보건시설건립지원TF팀'을 보건소에 신설했다.

구 관계자는 "현행법상 산후조리원은 사회복지시설이나 문화체육시설 같은 공공기반시설에 포함되지 않아 기부채납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공공 산후조리원을 기부채납 대상 공공기반시설에 넣을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을 건의했고, 시가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박 구청장은 "산후조리원은 산모 대부분이 이용하는 보편적 서비스로 정착하고 있다"며 "산모와 신생아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해 경제적 부담 없이 양질의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출산친화 도시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아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