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서 설립 타당성, 최적 위치 등 구체화
|
구는 산모와 신생아 건강을 위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에 본격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와 관련 구는 지난 20일 구청 정책회의실에서 '용산구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및 운영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5개월간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의 타당성 분석 △최적의 설립 위치 선정 △운영방안 기본계획 구체화 등을 중점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박 구청장은 "그동안의 현금 지원 방식은 민간 산후조리원 이용료 상승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었다는 분석이 있다"며 "현금성 지원 외 산모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고자 공공산후조리원 도입을 구상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구는 지난해 11월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전담조직인 '보건시설건립지원TF팀'을 보건소에 신설했다.
구 관계자는 "현행법상 산후조리원은 사회복지시설이나 문화체육시설 같은 공공기반시설에 포함되지 않아 기부채납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공공 산후조리원을 기부채납 대상 공공기반시설에 넣을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을 건의했고, 시가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박 구청장은 "산후조리원은 산모 대부분이 이용하는 보편적 서비스로 정착하고 있다"며 "산모와 신생아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립해 경제적 부담 없이 양질의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출산친화 도시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