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고대 등 급중
|
서울시 교육 플랫폼 '서울런'을 통해 올해 782명이 대학에 합격해 전년 대비 100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시가 발표한 '2025학년도 대학 진로·진학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런 이용 수능 응시자 1154명 중 67.8%가 대학에 합격했다. 서울런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취약계층 6~24세 학생에게 공정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온라인 강의, 1대 1 멘토링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서울런이 도입된 2021년 12월 회원 수 9000여명에서 꾸준히 늘어 현재는 3만3000여명에 이른다.
특히 서울 주요 11개 대학 및 의약학 계열에 합격한 학생은 173명으로 전년(122명) 대비 41.8% 증가했다. 서울대 19명, 고려대 12명, 연세대 14명, 의약학 계열은 18명이 합격했다. 합격생 중 20%인 158명은 "서울런만으로 대학에 진학했다"고 답했다. 합격생들의 평균 학습 시간은 약 188시간(1만1258분)으로, 주요 대학 합격자는 약 285시간(1만7089분)을 공부했다. 서울런 접속 횟수도 전체 평균 127회, 주요 대학 입학생은 174회로 나타났다.
2년 연속 참여자 대상 조사에서는 성적 향상과 사교육비 절감 효과도 확인됐다. 성적 향상도는 5점 만점에 3.99점으로 전년 대비 0.72점 상승했으며, 사교육비 지출 감소 가구도 42.1%에서 52.4%로 증가했다. 월평균 사교육비 절감액은 25만 6000원에서 34만 7000원으로 9만1000원 늘었다.
시는 올해 교육 대상과 범위를 확대해 AI 기반 실무특화 콘텐츠, 1000여개 비교과 강좌, AI 기반 학습 문제풀이 앱,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장학 예고제 등을 도입한다. 또한 취약계층 유아 500명을 대상으로 '서울런 키즈'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나아가 서울런의 전국 확산에도 계속 나선다는 계획이다.
정진우 평생교육국장은 "사교육비 부담이 커지는 현실에서 서울런이 실질적 대안이자 희망이 되고 있다"며 "더 많은 청소년·청년이 사교육 부담 없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