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업계에 따르면 CU에서 판매 중인 쑥, 밤, 단팥, 옥수수, 약과 등을 활용한 할매니얼 관련 상품의 지난달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21.5% 올랐다. 전월(2월)과 비교하면 23.8% 증가하며 CU 디저트 전체 매출(12.8%) 오름폭 보다도 더 높았다.
할매니얼은 할매와 밀레니얼의 합성어로 기존 조부모 세대의 문화를 새로운 감각으로 변형해 이를 즐기려는 젊은 소비층 또는 그런 소비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다.
CU가 지난달 여수 디저트 맛집인 '여수당'과 협업해 선보인 '쑥 크림 샌드위치'는 출시 한 달여 만에 15만 개가 팔리며 큰 인기를 끌었다. 여수당 상품들은 출시 후 SNS 상에서 호평을 받으며 꾸준히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팥 샌드가 딸기 샌드보다 1만개 이상 더 판매됐는데 이는 디저트 샌드위치의 주요 소비층인 MZ세대의 할매니얼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밤맛을 활용한 '붕어꼬리빵 밤크림'도 인기 제품이다. 붕어빵은 동절기 대표 간식으로 통하지만, 밤맛 크림을 더한 해당 상품은 지난 달에만 5000여 개가 판매되며 이례적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자체 커머스앱 포켓CU의 'Weekly Hot 10' 순위에서도 지난 3주 내내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편의점의 할매니얼의 원조 상품으로 불리는 CU '이웃집 통통이 약과 쿠키' 역시 지난 2023년 3월 출시 당시 5일 만에 10만개가 완판됐으며 지금까지 해당 시리즈 상품들의 누적 판매량은 무려 1000만 개에 이른다.
이 밖에도 양갱 25.9%, 소보로빵 17.8%, 막걸리 18.6%, 식혜 23.2% 등 다른 할매니얼 제품들의 지난 3월 전월 대비 매출신장률도 일제히 두 자릿수로 신장했다.
기존 편의점에서 할매니얼 트렌드를 이끌었던 떡이나 약과 대신 최근엔 빵, 샌드위치, 붕어빵과 같은 신상품들이 잇따라 출시되면서 그 유행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명수 BGF리테일 MD지원팀장은 "약과에서 시작된 할매니얼 트렌드가 올해 디저트 등 다른 상품들로도 점차 확산되며 그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CU는 '디저트 맛집'이라는 명성을 이어나갈 수 있는 다채로운 상품들로 고객의 입맛 잡기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