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국대 동양학연구원이 선보이는 디지털 사전은 한국한자어사전(1996), 이두사전(2020), 한국한자자전(2023)을 집대성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통합 검색 플랫폼이다. 한자문화권에서 사용하는 기존 한자 사전과 달리 한국식 한자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吏讀)' 자료를 중심으로 한다.
사전엔 국내 최대 한국식 한자 데이터를 수록했다. 한국한자어사전과 한국한자자전의 한국식 한자 표제어 8만5000여개와 용례 7만4000여개, 이두사전의 이두어휘 약 4200여개와 이두용례 1만2000여개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종이 사전의 지면상 한계로 수록하지 못한 용례의 고문헌 원전 이미지까지 시각자료로 제공한다.
단국대는 'DK한국한자' 폰트를 자체적으로 개발해 폰트가 없는 2300자의 산출 한자를 구현했다. 디지털 사전은 부수, 음, 총획 등 다양한 조건의 검색 기능도 제공한다. 사용자는 세 사전 간 통합 검색, 검색어 확장 및 일치 기능 및 표제자, 뜻풀이, 용례 등 구성요소 별로 고도화된 검색 기술로 정보 탐색이 가능하다.
동양학연구원은 올 하반기엔 이두사전 서비스를 제공해 이번에 선보인 디지털 사전과 함께 고문헌 연구자와 일반인들이 쉽게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재령 단국대 동양학연구원장은 "이번에 오픈한 디지털 사전은 한국어 속 한자어의 역사적 맥락과 변천 과정을 반영하는 국내 유일이자 최대의 검색 시스템"이라며 "문자학 및 고문헌 연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문화권의 한자 수입과 발전상에 관한 국제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