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등 후속조치
|
정부는 18일 임시국무회의를 열어 AI 분야 1조8000억원을 포함한 총 12조2000억원 규모의 추경 정부안을 심의·의결했다. 정부가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하면 추경안은 국회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본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된다.
과기부는 이를 계기로 지난 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국가AI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 추진을 본격화한다. 지난 2월 제3차 국가AI위원회에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차세대 AI모델 개발, △AI 전환 가속화를 추진 전략으로 삼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AI역량 강화 방안'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것이다.
과기부는 추경 편성으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재정 투입에 나서 빠른 시일 내에 국가AI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자원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1조4600억원을 들여 조속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클러스터링 기반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분을 연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AI컴퓨팅 센터를 조기 가동하고 내년 상반기 내 첨단 GPU 8500장 규모 슈퍼컴 6호기 서비스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또 시급한 국내 AI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2600장분의 추가 임차·활용 지원에도 1723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실증사업도 298억원 규모에서 752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높은 잠재력을 가진 국내 AI반도체 기업이 골든타임 내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직접 지원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AI컴퓨팅 상용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온디바이스 AI, 해외 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실증 지원도 확대한다.
이 밖에도 설계 소프트웨어, 제품 제작, 검증 지원 등을 직접적으로 제공해 유망 스타트업의 사업화를 적시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국가AI컴퓨팅센터(SPC)가 선정되면 금년부터 국산 AI반도체가 센터에 본격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과기부는 민간 AI컴퓨팅 인프라 투자 촉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첨단 AI 연구·개발(R&D), AI 인프라 투자에 대해 세제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달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한 데 이어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전략기술의 범위 등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AI 데이터센터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입지·시설·전력 관련 제도적 지원도 지속한다.
이 밖에도 글로벌 수준의 AI모델 개발을 위해 AI 정예팀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World Best LLM 프로젝트' 본격 추진(1936억원), 혁신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챌린지' 올해 하반기 개최(100억원),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국내에 유치할 경우 3년 간 최대 연 20억원을 지원하는 'AI Pathfinder 프로젝트' 신규 추진(50억원), 국내외 우수 박사후연구원 400명에 대한 최고 수준의 처우 및 집단·융합연구 등 집중 투자(300억원), 민·관 합동 조성 예정인 'AI 혁신펀드' 규모 확대(900억원→2000억원), 연구개발특구 내 AI 분야 연구성과 및 혁신인프라 활용 극대화를 통한 AI·AX 딥테크 기업 육성 트랙 신설(401억원→451억원) 등도 진행한다.
유상임 과기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경쟁속에서 이번 추경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중대한 결정"이라며 "과기부는 '1년이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 뒤처진다'라는 절박한 각오로 추진과제를 철저히 준비해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