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교육 분야론 유일하게 선정 쾌거
기업용 '스픽 포 비즈니스' 3년 전부터 입소문
브랜드 인지도 상승, 기업교육 사업부 신설
|
지난 18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서 진행한 본지의 홍연승 스픽 한국 지사장 인터뷰에서 그는 스픽의 장점이나 메리트를 한 문장이나 한 단어로 어떻게 소개할 수 있는지 질문하자 "영어는 말해야 는다"며 스픽은 "미친 듯이 많이 말을 시키는 영어 앱"이라고 설명했다.
스픽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에듀테크 기업 '스픽이지랩스(Speakeasy Labs)'가 개발한 AI 기반 영어 학습 솔루션이다. 지난 2019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출시했으며 현재 일본, 대만을 비롯해 40개 이상의 주요 국가에 진출해 15개의 모국어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매체 포브스가 선정한 '2025 AI 50' 리스트에 언어 교육 분야로는 유일하게 선정되는 성과를 얻었다.
스픽은 지난해 12월 1100억 규모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하면서 기업 가치 1조4000억원을 달성해 서비스 론칭 5년 만에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스픽이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할 수 있게 된 계기에 대해 홍 지사장은 두 가지 이유를 꼽았다.
그는 "먼저 AI 기술로 실제로 피부에 와닿게 시장을 바꾸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컨슈머 브랜드(Consumer Brand)'로서의 가치를 입증한 점"이라며 "AI라고 하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플랫폼 말고는 실생활에서 가깝게 쓰는 게 없는데, 스픽과 같은 언어 학습이 새로운 예시가 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
스픽은 '언어는 말해야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발화량 중심의 학습법을 강조하는데, 이를 위해 3가지 영역에서 AI 기술을 도입했다. 첫 번째는 학습자가 선생님이 가르쳐주는 '오늘의 표현'을 비디오레슨을 통해 배우고, 수업에서 배운 문장을 직접 따라 말할 때 음소 단위의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두 번째는 'AI 스픽튜터'와 실제 상황과 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화하면서 연습하는 대화형 학습이다. 홍 지사장은 "기존의 원어민 전화 영어 수업은 일상적인 대화가 대부분인데, 스픽은 학습자가 원하는 상대와 원하는 주제로 프리토킹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예로, 반도체 엔지니어가 다음 주 외국 바이어를 만나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대화를 한다거나, 식품위생 전공자가 면접을 본다고 하면 'AI 스픽튜터'를 통해 충분히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세 번째는 배우고 연습한 표현 중에서 더 연습이 필요한 부분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주면서 학습자를 위한 맞춤 커리큘럼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한다는 점이다. 홍 지사장은 "수업하고 나면 AI가 자동으로 1주일 동안 총 몇 문장, 몇 단어를 말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실수를 한 단어나 문장은 무엇인지 지적해 준다"며 "이렇게 AI가 통계를 내고, 틀린 부분은 다시 들어보고 반복 학습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높으면서 스픽은 기업 대상의 교육 '스픽 포 비즈니스(Speak for Business)'도 하고 있는데, 현재 300개 이상의 기업에서 도입 중이다. 홍 지사장은 "과거 2~3년 전부터 개인 학습자들이 자신의 회사에 스픽으로 직원 교육을 하자고 건의하면서 기업의 문의가 지속적으로 있었고, 실제로 적용한 기업도 있었다"며 "지난해 1월 유명 가수가 브랜드 캠페인을 하면서 인지도가 더욱 높아지게 됐고, 문의가 더욱 많아지면서 기업 교육 사업 부서를 신설했다"고 말했다.
홍 지사장은 B2B에서 스픽만이 지닌 장점으로 앱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또 학습 관리자도 직원 몇 명이 학습했으며, 주 몇 회, 어느 시간대에 했는지 학습자의 출석체크와 학습진도율 등을 데이터화 할 수 있어 분석과 관리가 편리하다.
홍 지사장은 "브랜드 캠페인의 슬로건 '틀려라 트일 것이다'는 단순히 스픽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다"면서 "사람들이 영어 공부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틀릴 것을 두려워해서 시도하지 않았던 것을 두려움을 떨치고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용기를 주는 메시지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하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